저출생 반전 신호 오나… 결혼·출산 의향 모두 높아져

이한빛 기자
입력일 2024-10-14 14:46 수정일 2024-10-14 15:51
인쇄아이콘
저고위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결과 발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결과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인식이 지난 3월 조사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14일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의향 및 태도, 정부의 저출생 대책에 대한 인식과 요구 등을 조사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7일까지 만 25~49세 남녀 259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지난 3월 인식조사와 결혼·출산의향을 묻는 문항 등을 동일하게 구성했다.

아울러 지난 6월 19일 발표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한 질문 등도 포함했다.

조사 결과 결혼 자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미혼남녀의 결혼 의향 모두 증가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은 지난 3월 조사에서 70.9%였으나 9월 조사에서는 71.5%를 기록하며 소폭 증가했다. 20대 남성의 경우 3월 68.3%에서 9월 75.4%로 가장 변화가 컸다.

결혼 의향은 65.4%로 3월(61%)보다 4.4%p가 늘었다. 특히 30대 여성의 결혼 의향은 3월(48.4%) 대비 11.6%p 증가한 60%를 기록했다.

출산에 대한 인식도 높아졌다. 자녀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68.2%로 3월 조사(61.1%)보다 7.1%p가 높아졌다. 20대 여성의 인식은 3월 조사보다 13.7%p 오른 48.1%였다.

무자녀 남녀의 출산 의향도 3월 32.6%에서 37.7%로 올랐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20대는 1.7%p, 30대는 4.8%p, 40대는 5.7%p 증가했다. 반면 유자녀 가정에서는 양육의 어려움,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출산 계획이 10.1%에서 9.3%로 소폭 하락했다.

자녀를 가정에서 돌보기를 원하는 기간은 13~24개월이 31.3%로 가장 높았다. 이어 25~36개월이 29.5%로 뒤를 이었다.

맞벌이 가구의 일·가정 균형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육아를 위한 시간 확보‘가 가장 높았으며, 임신·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와 유연근무제 확산 등의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에 대해 들어봤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은 64.6%를 기록했다. 인지경로는 인터넷(45.2%)이 가장 높았고, TV(33.6%)와 소셜미디어(13.1%)가 뒤를 이었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분야는 일·가정 양립(85.7%), 양육지원(85.6%), 주거 등 결혼·출산 지원(84.1%) 등 3대 핵심 분야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주거 등 결혼·출산 지원(85%)이, 여성은 일·가정양립 지원(88.9%)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유자녀 가정은 양육 지원(89%) 분야가 가장 높았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육아지원제도 사용 여건 조성(88.1%), 필요할 때 휴가·휴직 사용(87.5%), 소득 걱정 없이 휴가·휴직 사용(87.5)이 꼽혔다.

남성은 소득 걱정 없이 휴가·휴직 사용(86.2%), 여성은 육아지원 제도 사용여건 조성(90.9%)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응답자들은 저출생 대책 중 △신혼·출산·다자녀 가구에 주택공급 확대(73.6%) △유치원·어린이집 무상교육·보육 실현(72.5%) △육아휴직급여 상한액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72.2%) 순으로 기대효과가 높다고 봤다.

향후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확대·강화가 필요한 과제로는 ‘육아기 유연근무 사용 활성화’가 가장 높았고 △소아의료서비스 이용 편의성 제고 △주말·야간 등 긴급 돌봄서비스 확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등에 대한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이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를 확대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국민 인식 변화를 살피고, 정책 수요자 입장에서 체감도 높은 정책 대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한빛 기자 hblee@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