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 해소 시급하다

사설 기자
입력일 2024-01-25 13:36 수정일 2024-01-25 13:36 발행일 2024-01-26 19면
인쇄아이콘

지난해 상업용(오피스·상가) 부동산 임대료가 오피스는 상승했고 상가는 하락했다. 25일 발표한 한국부동산원 분석에서 관심 가져야 할 부분은 공실률이다. 중대형 상가 13.5%, 소규모 상가 7.3%, 집합상가 9.9% 등 공실률은 경기 침체의 바로미터가 된다. 공실률 상승은 상권 침체 등 여러 여건을 반영하며 부동산 가치도 떨어뜨린다.

같은 서울이라도 여의도권이나 강남권과 도심권역이 다르다. 도산대로, 광화문, 용산역 일대의 중심업무지구 임차 수요가 높을 건 당연하다. 상가 임대료는 대체로 하락했다. 투자수익률 면에서 중대형 상가는 경기와 대전이 높고 소규모 상가는 충남이 높지만 도심과 외곽지역의 결은 다르다. 지방으로 갈수록 자연 공실률에서 멀어진다. 신도시의 경우 상권 쇠락보다 애초에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지 못한 도시계획에도 기인한다. 잘못된 도시의 확장 방식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세종시의 1인당 상가 면적이 위례신도시나 미사신도시의 두 배 가까운 것은 상업기능 허용 용지를 적정하게 계획하지 못한 사례에 넣을 수 있다. 전문업체가 아무리 좋은 점포를 갖춰도 주변 상권이 성숙하지 않으면 비어 있을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형성된 상권이 아닌 까닭이다. 부동산원의 분석을 토대로 지방자치단체별로 빈 가게가 늘어나는 지역의 특성을 일원화하지 말고 다각적으로 분석했으면 한다. 쉽지는 않지만 최고의 해결책은 상권 활성화다.

부동산이라고 다 같은 부동산이 아니라 하듯이 공실률도, 투자수익도 천차만별이다. 전국 상업용 부동산의 연간 투자수익률 하락에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이 작용한다. 필요하다면 특정 상가들을 집적해 쇼핑객을 모을 수 있는 상품 구성과 통합 관리에 준하는 지원까지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모든 유형의 상가 공실률이 나빠진 원인을 공급이 증대돼 수요를 초과한 데서만 찾으면 안 된다. 공실률 증가는 경제활동이 줄고 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한 것으로 치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불황이다. 상업용 중 오피스의 전국 평균 공실률이 전년 대비 0.6%포인트 낮아졌지만, 그래도 8.8%다. 주요 상권에 입지하고도 공실이 발생하는 오피스나 상가라면 그 해소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공실 상태가 오래 지속된다면 용도변경이나 상권 조성 등 적극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번 발표에서 다시 볼 것은 상권 침체와 지역경제 악화의 부작용이다. 공실이 몰리는 지역이 따로 있는 ‘평균의 이면’을 특히 더 유념해서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