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단체·기업의 수산물 소비 촉진, 결과도 좋으려면

사설 기자
입력일 2023-08-29 14:32 수정일 2023-08-29 14:32 발행일 2023-08-30 19면
인쇄아이콘
올해 2분기도 전분기에 이어 수산물 소비가 줄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전부터 소비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었다. 경제단체와 기업들이 수산물 소비 촉진에 동참하는 것은 방류 이후 정말 위축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무분별한 ‘후쿠시마 오염수 괴담’ 확대가 아니라도 소비력 저하는 불가피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산물 소비가 2012년 4.8%, 2013년 6.0% 등으로 연속 줄어든 전례가 있다. 국내 어업 생산량과 생산액도 줄었다. 사정이 그때보다 좋다고 단언할 수 없다.

경제단체와 기업의 전방위적인 노력은 이럴 때 큰 힘이 될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중소기업복지플랫폼에 수산물 판매업체를 입점하는 방안처럼 지속성을 띤 것도 있다. 회원사와 연계한 전국경제인연합회(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의 소비 진작책, 그리고 기업들의 수산물 소비 운동 동참은 선한 영향력이 되리라 믿는다. 해운선사, 유통업계 가리지 않고 수산물 소비와 판매 촉진에 힘을 보탠다. 이러한 노력, 협력은 오염수가 해양 생태계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다. 국민 안전과 건강에 구체적인 위협 요인이 된다면 허사가 된다. 유통·식품업계의 자체 품질 관리 기준 강화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오염수 위해성 우려 외에도 수산물 소비심리 위축은 세계적인 피시플레이션(수산물+인플레이션) 영향까지 크게 받는다. 세계수산물 가격지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15%의 최고점을 기록했다. 기후변화에 기인한 공급 부족과 중국 수요 증가 등에 따르는 가격 급등 영향이다. 기업 단체급식, 학교급식 등에 활용할 때는 단가가 높은 수산물을 급식에 많이 활용해야 하는 난제가 생긴다. 할인 판매로 이익이 줄어드는 어업인에게 예비비를 지원하는 것도 아이디어가 될 것이다. 소비 진작을 위한 다각적인 고민과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 결과가 좋으려면 안전성 100% 담보는 기본이다. ‘사실상 강제 급식’과 같은 무분별한 비판쯤은 넘어서야 한다.

올해 2분기 월평균 신선수산동물 지출액(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은 1만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9.8% 급감했다. 본격적인 시장 위축이 되는지는 추석 명절 대목이 분수령이 될 것이다. ‘과학이니 믿으라’보다는 실제 과학적인 정책이 수산물 소비에 도움이 된다. 경제단체와 기업들의 캠페인 역시 과학에 기반하면 최고의 불안심리 해소 수단이 될 것이다. 정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대상에는 오염수뿐 아니라 수산물 물가도 있다. 수산물 공급망 정상화와 가격 안정화에 힘쓰고 수산업을 구제할 단계별 대책까지 마련해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