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미분양 위험수위, 지역 중소건설사 ‘줄도산’ 우려… 정부, 나서야 할까 말까

장원석 기자
입력일 2023-07-25 14:41 수정일 2023-07-25 17:55 발행일 2023-07-26 3면
인쇄아이콘
부동산PF 연체율 높아져 기초 체력 부실한 지방 건설사 부도 위험수위
2023072601010014060
지방 중소형 건설사들은 쌓여가는 미분양에 자금줄이 막현 자칫 줄도산 우려가 나오고 있다.(사진=연합)
 

분양시장이 살아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지방 분양경기는 여전히 극심한 침체 국면에 머물고 있다. 쌓여가는 미분양에 부동산 PF 연체율이 급격히 높아져 기초 체력이 부실한 지방의 중소 건설사들은 줄도산마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정부가 나서 미분양 적체에 따른 지방 중소형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를 막아야 한다는 요구까지 나오는 상황이지만 한편으론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방 분양 시장이 좀처럼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 가구 총 6만8865가구 가운데 84.3%에 달하는 5만8066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다. 서울 분양 열기는 뜨거운데 지방은 아직도 미분양의 무덤인 셈이다.

문제는 정부 통계상보다 실제 미분양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는 것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현재 실질적인 미분양 주택은 전국 기준 10만 가구를 초과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가 발표하는 미분양 통계는 주택사업시행자에게 문의해 집계한 것으로 주택경기 침체기에는 혹시라도 미분양 건설사로 낙인 찍힐까봐 실제 미분양 물량보다 30~50%가량 적게 응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계속되는 지방 분양 침체 속에 또 하나의 악재는 최근 불거진 새마을 금고 사태 여파다.

지역 중소 건설사들은 대부분 새마을금고와 같은 제2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기 때문에 체질이 허약한 지방 건설사들은 한계상황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지방 중소형 건설사들은 재무적으로 취약해 신규 분양 한 두건만 실패하면 바로 도산의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23072534
이에 대한주택건설협회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정부가 미분양 문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익성 및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 PF 사업장이 늘면서 심각한 수준으로 연체율이 올라가고 있다. 국민의 힘 윤창현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 6000억 원으로 지난해 12월 말의 130조 3000억 원에서 3개월 만에 1조 3000억 원이 늘었다. 여기에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2.01%로 지난해 12월 말의 1.19%보다 0.82% 포인트(p) 급증했다.

이와같은 지방 건설사들의 부도 위기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지방의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흡수해줘야 연쇄부도를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지금은 부동산 사이클 저점이므로 미분양 물량을 자연스레 시장이 해결할 수 있도록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최덕철 주산연 부연구위원은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장기적체 가능성이 큰 지방 미분양에 대해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건설업과 제2금융권의 부실화가 우려되므로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주택시장은 경기를 타기 때문에 미분양 문제는 시장에 맡기는 것이 최선”이라며 “건설사들도 시장이 좋지 않을 때 개별 기업의 역량이 더욱 부각되기 때문에 최대한 보수적인 경영방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one218@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