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 미래 먹거리는 첨단 인재 양성에 달렸다

사설 기자
입력일 2023-02-07 15:48 수정일 2023-02-07 15:49 발행일 2023-02-08 19면
인쇄아이콘
정부가 ‘ABCDE’(예: A는 항공·우주, 미래 모빌리티) 등으로 나눈 22개 첨단 신기술 인재 양성과 국가 지원에 팔을 걷어붙였다. 비유하자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가는 마지막 흔들다리처럼 인식된다. 7일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경제 전쟁’ 대처를 강조했는데 그 핵심에 인재 양성이 있다. 이달 1일에는 대통령이 의장인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출범시켜 첫 회의를 열었다. 제2의 내각이라고 평가될 만큼 총출동한 것은 높은 관심도를 반영하지만 첨단 기술 분야의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는 뜻도 된다.

그런데 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예측된 미래였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지수에서 한국은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 42위, 해외 고급 인재 유입 49위로 63개국 기준 중하위권을 차지한다. 미래 추가인력은 차치하고라도 반도체(최근 산업통상자원부 분석으로는 1752명), 전자(5375명), 화학(4275명) 등의 인력이 당장 부족해 아우성이다. 산업 현장에 적합한 기술인재 육성에 과감하고 선도적이지 않으면 안 된다. 정신 바짝 차려 준비해야 한다. 미래를 주도할 인재가 부족한 채 미래 먹거리를 개발한다는 건 모순이다.

반도체나 정보기술 인재 ‘10만 양병론’도 그동안은 귓등으로 흘려들었다. 실제로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사람이 없다는 하소연이 곳곳에서 터진 다음에야 국가인재양성법, 직업교육법, 인재데이터 관리법 등 인재 양성 3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법석이다. 정부와 대학, 산업계가 힘을 합쳐 사람에 투자하고 미래를 주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답이 들어 있다. 비수도권 대학은 첨단학과 정원을 늘려도 가르칠 교수가 없는 형편이다. 우리 산업이 잃어버린 20년에 빠져 미래 먹거리 화두 찾기에 한 발 늦었다는 위기의식을 가질 때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몇몇 기업이 있다 해서 우쭐해할 여유는 없다.

핵심 기술인재 양성 없이는 성장의 시대는 종언을 고한 것이나 다름없다. 국가발전 동력이 과학기술이고 인재 양성이라면 교육 개혁도 여기에 맞춰야 이치상 맞는다. 인재 양성의 중심인 대학이 겹겹의 규제와 관행에 손발이 묶이면 말이 안 된다. 지난날 미네소타 프로젝트로 무장한 교수들이 한국 재건의 밑거름이 됐음을 반추해보자.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산업 대전환의 열쇠는 인재 양성이다. 어렵게 키운 첨단 인재가 미국, 중국 등으로 이탈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글로벌 기술패권을 향한 ‘흔들다리’를 범부처적인 비상한 협업으로 슬기롭게 건너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