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연구 기반 '실험실 창업', 혁신성장 화수분… 연구성과 실용화는 여전히 미흡

김동홍 기자
입력일 2022-07-13 15:47 수정일 2022-07-13 15:47 발행일 2022-07-14 17면
인쇄아이콘
산학연협력위원회 강화로 연구성과 실용성 강화방안 찾아야
실험실창업
2022년 실험실 창업교육(1차)이 지난주 열렸다. (사진제공=산학연기술지주회사협회)

대학과 공공연구소 같은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는 ‘실험실 창업’이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기업의 31.5%에 이를 만큼 혁신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연구 성과의 실용화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실험실 창업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2022년 실험실창업교육(1차)’에서, 한국공학대 고혁진 교수는 ‘실험실창업 관련 법령 및 정책, 제도,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고혁진 교수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기업은 모두 143개였고, 이 가운데 실험실창업은 45개로 31.5%, 시가총액은 14조 8500억원으로 38.2%, 고용인원은 3530명으로 29.3%를 차지했다. 또 TIPS 창업팀 1234개(2013~2020년) 중 342곳인 27.7%가 실험실창업이었다.

이와 같이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성과가 혁신기업 출현에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이 보유한 2020년 기준 14만 5764개의 지식재산권 실용화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기술이전은 3.6%, 연구개발투자 회수율은 1.56%에 불과한 실정이다.

고 교수는 연구성과가 기술이전이나 창업으로 구체화되지 못하는 이유로 6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먼저 기초·응용·개발R&D의 연구성과가 기술이전·창업지원 등 기술사업화로 넘어가는 중간 과정에서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각 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의지 및 TLO(기술이전조직), 기술지주회사 등 전담인력 부족 등에 따른 것이다.

기술을 보유한 연구자와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정부 사이에 높은 수준의 정보 비대칭이 존재한다. ‘나 홀로 연구’도 여전하다. 개념검증, 비즈니스모델(BM) 개발, 지식재산(IP) 포트폴리오 구축, 팀 빌딩, 투자자금 유치 등 다양한 지원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연구성과의 실용성 제고를 가로막고 있다.

경직된 R&D 지원방식도 해결돼야 한다. 지난해부터 중기부가 R&D 지원금의 칸막이를 제거하는 내용의 ‘투자형 R&D’를 도입해 호응을 얻고 있지만 기술별로 사업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간과 예산 등이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편이성을 위한 경직된 지원방식은 지속되고 있다. 연구기관 인큐베이팅·창업·스케일업 단계의 분절적 지원도 문제라고 파악됐다.

그럼에도 관련 부처별 지원사업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지만 통합 조직 부재로 인한 유사 중복사업은 여전한 실정이다.

2021년 기준 실험실창업 관련 사업은 12개 사업에 2693억 8500만원이 투입됐다. 이 중 과기부가 1731억 2600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64.3%를 차지한다. 교육부는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사업(BRIDGE), 실험실특화형 창업선도대학(교육부), 대학창업펀드가 있다. 중기부가 Tech-Bridge 활용 상용화기술개발,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R&BD지원, 실험실특화형 창업선도대학(중기부) 등을, 산업부는 기술성과활용촉진(R&D재발견프로젝트) 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학연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7년 국무총리실에 산학연협력위원회가 설치됐지만,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1년에 한두 차례 회의 개최로 명백만 유지할 뿐이다.

김동홍 기자 khw090928@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