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비자물가 7~8% 상승에 미리 대비를

사설 기자
입력일 2022-07-05 13:59 수정일 2022-07-05 13:59 발행일 2022-07-06 19면
인쇄아이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0%를 기록했다. 드디어 우려했던 6%대를 넘어선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이다. 생활물가는 7.4%까지 뛰었고 외식물가는 8.0%나 치솟았다. 에너지 가격은 30~50%씩 올라 천장이 어디인지 도저히 점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경유가 50.7%나 뛰었고 휘발유가 31.4%, 등유는 무려 72.1%나 올랐다.

빵 같은 가공식품류도 7.9%나 뛰었다. 돼지고기(18.6%), 수입소고기(27.2%), 배추(35.5%) 등 농축산물 가격 상승세도 걷잡을 수 없는 형국이다. 공업제품도 1년 전에 비해 9.3%나 올랐다. 이번 통계에는 7월 전기·가스료 인상분이 반영되지 않았는데도 그렇다. 대외변수인 국제 원자재와 곡물 가격의 가파른 상승세가 여전한 탓에 당분간 국내 물가안정 기대는 요원해 보인다.

가파른 물가 상승은 경기 침체를 가속화하는 최대 위협 요인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이든 인플레이션이든 제대로 잡으려면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는데, 금융통화위원회가 7월에 0.5% 포인트의 기준금리 ‘빅 스텝’을 단행이라도 하면 소비심리는 더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최근 결정된 내년 최저임금 5% 인상을 기화로, 곳곳에서 임금인상 및 제품 및 서비스 단가 인상 압력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7월부터는 찜통 더위와 함께 본격 휴가철이 시작된다. 6.0%를 기록한 6월이 물가의 정점이 결코 아니라는 얘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7∼8월에 6%대의 물가 상승률을 예측했었지만, 현재 추세라면 하반기 내낸 7~8%대 상승률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더욱이 10월에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의 추가 동시인상까지 예고돼 있어 한 동안 물가 상승 압박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 매고 힘을 모으는 것 외에 없다. 우선, 정부와 국회는 최대 37%로 제한되어 있는 유류세 인하 범위를 50% 수준까지 확대키로 한 입법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전기 등 에너지 수급 안정을 위해선 원자력 발전 비중을 보다 확대하는 것이 현명한 방안이다. 여름철 블랙아웃에 대비한 ‘에코백’ 보상 시스템 보강도 서두르는 게 좋다.

최저임금 5% 인상이 자칫 물가 앙등의 불쏘시개가 되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자칫 생산성 향상 없는 임금 인상에 그쳐 경기 회복 속도를 더디게 하고 성장 동력을 축나게 할 수 있다. 기업체는 임금과 제품가격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하고 투자와 고용확대에 매진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외환위기나 금융위기를 극복했던 ‘위기극복의 DNA’를 다시 발휘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