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완화적 통화정책 정상화”…금리 인상 가능성

유혜진 기자
입력일 2021-06-11 08:53 수정일 2021-06-11 15:13 발행일 2021-06-11 99면
인쇄아이콘
한은 총재, 창립 71주년 기념사에 하반기 이후 역점 사항으로 언급
20210527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_사진4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완화적 통화정책을 정상으로 돌리겠다”며 기준금리 인상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11일 한은 창립 제71주년 기념사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 정상화가 하반기 이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 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개 상황, 경기 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 시기와 속도를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간 취해온 확장적 위기 대응 정책들을 금융·경제 상황 개선에 맞춰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것은 우리 경제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경제주체들과 미리 충분히 소통함으로써 이들이 충격없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그동안 경제 회복을 기준금리 인상 조건으로 걸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부진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살아나고 있다”며 “수출이 크게 늘고 설비투자가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며 소비도 부진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과도한 빚은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 총재는 “과감한 경기 부양 조치들이 고용·소득 불안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면서도 “경제주체들의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해지면서 실물경제보다 자산 가격이 빠르게 올랐고, 그 결과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고 민간 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부동산과 주식뿐 아니라 암호자산으로까지 빚내서 투자하는 경우가 있다”며 “가계부채 누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완화적 통화정책의 정상화’라는 표현은 기준금리를 한 두 차례 올려도 긴축 기조로 바꾸는 건 아니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10일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도 통화신용정책보고서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의 긴축 기조 시사’라는 질문을 바로잡았다. 박 부총재보는 “기준금리가 연 0.5%로 낮은 수준이지 않느냐”며 “낮은 수준에서 한 두번, 소폭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을 긴축 기조라고 보기 어려운 것 같다”고 지적했다.

유혜진 기자 langchemist@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