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민간부채 증가속도 우려할만한 수준…부채상환 능력도 악화”

한장희 기자
입력일 2021-06-10 06:00 수정일 2021-06-10 15:11 발행일 2021-06-11 3면
인쇄아이콘
한경연 가계부채1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BIS(국제결제은행)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의 통계를 활용해 2016년 말부터 2020년 말까지의 최근 5개년 우리나라 민간부채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민간부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는 103.8%로 1962년 통계집계 이래 최대치이고, 기업부채도 111.1%로 1998~1999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그래프는 한국의 가계 및 기업부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 추이.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한국의 민간부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는 103.8%로 1962년 통계집계 이래 최대치이고, 기업부채도 111.1%로 1998~1999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가계부채는 소득보다 더 빨리 늘어나 상환능력마저 크게 취약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BIS(국제결제은행)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의 통계를 활용해 2016년 말부터 2020년 말까지의 최근 5개년 우리나라 민간부채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가계부채의 GDP비중은 87.3%에서 103.8%로 불과 5개년 만에 16.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 가계부채의 GDP비중 증가폭이 세계평균(43개국) 11.2%포인트,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5개국(G5) 6.4%포인트 이었음을 감안할 때 빠른 속도이다.

우리나라의 기업부채 증가 속도 역시 G5 국가 보다 빨랐다. 한국기업 부채의 GDP비중은 2016년 말 94.4%에서 2020년 말 111.1%로 16.7%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 세계평균(43개국)은 18.0%포인트, G5는 14.9%포인트 늘어났다.

한경연 가계부채2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BIS(국제결제은행)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의 통계를 활용해 2016년 말부터 2020년 말까지의 최근 5개년 우리나라 민간부채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민간부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늘고 있다. 가계부채의 GDP비중은 87.3%에서 103.8%로 불과 5개년 만에 16.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 가계부채의 GDP비중 증가폭이 세계평균(43개국) 11.2%포인트,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5개국(G5) 6.4%포인트 이었다. 한국기업 부채의 GDP비중은 2016년 말 94.4%에서 2020년 말 111.1%로 16.7%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 세계평균(43개국)은 18.0%포인트, G5는 14.9%포인트 늘어났다. 그래프는 가계 부채비율과 기업 부채비율을 한국과 주요5개국(G5) 비교한 것.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5개년 우리나라 민간부채 증가 폭은 33.2%포인트로 과거 미국의 금융위기 직전 5개년(2003~2007년) 증가 폭인 21.8%포인트를 상회할 만큼 그 속도가 매우 가파르다”라면서 “양질의 일자리 확충 등으로 소득을 부채보다 빠르게 증진시켜 민간부채 비율 완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소득을 통해 부채수준을 평가하는 대표 지표인 DTI(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와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을 G5와 비교 보았을 때,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가계소득보다 더욱 빠르게 늘어나 상환능력이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2015년에서 2019년 사이 우리나라 가계 DTI는 28.3%포인트나 증가하면서 증가 폭이 G5(1.4%포인트 증가)의 20배에 달했다. 가계 DSR 역시 같은 기간 우리나라는 평균 1.6%포인트 증가했지만, G5는 0.2%포인트 감소했다.

한경연 가계부채3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BIS(국제결제은행)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의 통계를 활용해 2016년 말부터 2020년 말까지의 최근 5개년 우리나라 민간부채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을 통해 부채수준을 평가하는 대표 지표인 DTI(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와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을 G5와 비교 보았을 때,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가계소득보다 더욱 빠르게 늘어나 상환능력이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래프는 한국과 주요5개국(G5)와의 가계 DTI·DSR를 비교한 내용.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기업의 경우 지난해 말 현재 한국의 DSR 비율은 39.7%로 G5의 42.7%보다 낮았다. 최근 5개년 DSR 증가폭 역시, 한국 3.7%포인트, G5 6.6%포인트로 한국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금리 방어력이 취약한 상황이므로 미국보다 선제적인 긴축 통화정책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가계는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어 유동성 위기에 취약하고, 특히 적자 가구가 많아 금리 인상 시 저소득층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기업들의 DSR비율이 낮아 금리 방어력이 양호한 편이기는 하나, 한계기업 비중이 높아 금리 인상 시 영세기업들의 타격이 클 수 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인위적 부채감축보다는 기업경쟁력 향상으로 이윤 창출과 부채상환 능력을 제고하고, 고용 및 임금지급 여력을 확충하는 것이 민간부채 감축의 근원적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 mr.han777@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