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서비스’로 수출 돌파구 찾는다… 콘텐츠·헬스케어 집중 육성

양세훈 기자
입력일 2020-08-13 11:27 수정일 2020-08-13 12:59 발행일 2020-08-13 99면
인쇄아이콘
정부, ‘K-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발표
정부가 ‘K-서비스’의 해외 진출 활성화에 나선다. 기업·시장·인프라 등 지원체계를 혁신하고 콘텐츠·헬스케어 등 6대 유망 K-서비스를 집중 육성해 20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최근 무역 트렌드는 제품 위주에서 ‘제품+서비스’로 확장되고, 최근 콘텐츠, 지식재산권 등의 수출이 빠르게 성장하는 상황이다. 또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과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업애로 해소 △글로벌 경쟁력 제고 △인프라 보강 등 3개 분야를 골자로 하는 서비스 맞춤형 수출 지원 정책을 마련했다.

우선 서비스 기업들이 해외 진출 과정에서 당면하는 현장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수출지원사업에서 서비스 기업 우대 및 특화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따라서 수출지원사업의 서비스 업종 대상 매출액 기준과 선정 기준을 완화하고 연구비의 인건비 사용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서비스 연구개발(R&D) 활성화 방안을 3분기 중 수립할 계획이다.

B2B(기업 간 거래)·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수요자별 온라인 수출지원 플랫폼 구축과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금융 지원 확대에도 나선다. 이에 비대면 서비스 무역보험 한도를 우대(최대 2배)하고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2023년까지 4조6000억원 확대할 계획이다. 또 콘텐츠 제작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1조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를 2024년까지 조성하고 1000억원 규모의 ‘K-BIO 신성장 펀드 제6호’를 통해 의료 서비스 해외진출 투자에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트랙레코드(Track Record)가 없어 수출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전방위 지원에 나서고, 기획·준비, 온라인마케팅, 현지화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서비스연계, K-브랜드 활용, 전략적 ODA(공적개발원조) 강화 등에 나선다. K-서비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맞춤형 성장 지원과 비대면 서비스 및 핵심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글로벌 표준화 작업도 이뤄진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해외 지재권 보호, 서비스 무역통계 혁신, 범부처 총력지원체계 구축 등 제조업에 못지않은 수출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해 서비스 분야에서 네트워크와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디지털 파트너십 협정 체결을 추진한다. 또한 해외지식재산센터를 확대하고 국제 지재권 분쟁 대응 지원 사업을 강화하는 등 안정적인 글로벌 물류망을 구축하도록 서비스 분야의 전문 무역상사를 육성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을 6대 유망 K-서비스로 정하고 분야별로 특성에 맞는 해외 진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제는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코로나19 대응으로 높아진 우리의 국격을 배경으로 서비스산업이 신(新)수출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양세훈 기자 twonews@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