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총파업 돌입…정치권·재계 "세습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 비판

이재훈 기자
입력일 2018-11-21 17:26 수정일 2018-11-21 17:39 발행일 2018-11-22 1면
인쇄아이콘
PYH2018112118890005400
21일 민주노총 광주본부 조합원이 광주 북구 중흥동 거리에서 총파업대회를 열고 있다.(연합)

민주노총이 21일 대규모 총파업에 나서자 재계는 물론 정치권마저 나락으로 떨어진 기업 경영환경이 더 악화되는 것 아니냐며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총파업의 중심이 되는 국내 주력 제조업종인 자동차와 조선업은 사상 최악의 경기 한파를 겪고 있어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과 재계는 이날 일제히 성명 등을 통해 ‘세습노조’와 고임금 구조의 민주노총이 현실에 맞지 않는 무리한 요구를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등 전국 14개 지역에서 총파업 강행 집회를 벌였다. 민노총의 전국 단위 총파업은 2016년 11월 박근혜 정부 퇴진 요구 총파업 이후 2년만으로, 약 16만명이 참여했다. 민노총은 문재인 정부가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등 노동정책을 후퇴시키고, 2020년 최저임금 1만원 등 노동공약을 폐기해 총파업에 나섰다는 입장이다.

현안으로 떠오른 탄력근로제는 일이 몰릴 때 더 일하고, 일이 없을 때는 덜 일하는 방식으로 일정 기간 안에 주당 평균 법정노동시간을 맞추는 제도다. 여·야·정은 최근 현행 최장 3개월인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6개월 또는 1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에 민노총은 노동자의 장시간 노동을 초래하고 임금 삭감을 초래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민노총 총파업에 대해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환경이 어려운 상황이라 총파업을 강행하는 ‘노조 이기주의’로 기업 환경이 더 악화되고 있다”며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친노동정부’에서 노동계의 총파업은 일반 국민에게 명분 없는 그들만의 호소로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재훈 기자 yes@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