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환율 리스크...외환당국의 대응은?

이채훈 기자
입력일 2016-01-17 17:33 수정일 2016-01-17 18:14 발행일 2016-01-17 4면
인쇄아이콘
선진국-신흥국간 자금 흐름 변화 살피며 대책 고심중
위안화 가치의 변동성이 극심해짐에 따라 외환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과 원·달러 환율의 동조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원화 가치의 변동성이 예상보다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중국 당국의 안정 의지를 감안하면 위안화 환율의 급격한 변동은 완화될 것”이라며 “글로벌 자금 유출 가능성을 우려해 중국 금융시장 불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불안심리를 잠재우는 이면엔 중국 증시와 위안화 변동성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불똥을 염려하는 모습이다.

한국과 중국의 밀접한 경제 무역 관계를 반영한 원화·위안화 동조화 현상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 외환당국이 당장 쓸 수 있는 대책은 환율변동 속도를 완만히 조절하는 스무딩 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 정도가 꼽힌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투기 자본 유입과 소비자물가 급등 등 고환율의 부정적 측면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과거에는 환율상승이 수출을 늘리는 반사이익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글로벌 생산·무역구조 변화로 인해 수출이 증대되지 않고 수입도 감소하지 않아 무역수지가 악화될 우려가 크다. 게다가 지금은 중국의 성장 둔화로 원화·중국 위안화가 동반약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이 더욱 불안해지면 외환당국이 외화유동성을 직접 공급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한국은행은 자체자금을 활용한 경쟁입찰방식 외환스와프거래, 미 연준과 통화스와프자금을 활용한 경쟁입찰방식 외화대출을 통해 총 266억2000만 달러를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외국환은행에 공급했다.

외환당국이 외화자금의 유출·입을 직접 규제할 수도 있지만 환율조작이라는 논란을 비켜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외환당국은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선진국과 신흥국의 자금 흐름 변화 등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최근 원·달러 환율 급변동에 대해 “환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면서도 “만약에 아주 급격한 변동이 있다면 신속하고도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자본유출에 대비해 선물환 포지션 규제를 강화하면서 중소기업 등이 처할 환율 위험 관리 강화에 힘쓸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 등도 거론하고 있다.

한편 이주열 한은 총재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건전성과 외환보유액 규모, 경상수지 흑자 등을 감안해 아직 일본과 통화스와프 재개 문제를 구체적 검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채훈 기자 freei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