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파리기후협정, 위기를 어떻게 기회만드나

사설
입력일 2015-12-13 16:32 수정일 2015-12-13 17:00 발행일 2015-12-14 2면
인쇄아이콘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195개 참가국이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파리기후협정’을 최종 채택됐다. 2020년 이후의 신(新)기후체제로 과거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했던 ‘교토의정서’보다 진전된, 195개국 모두에 구속력있는 첫 국제적 합의다. 핵심은 이번 세기말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시대 이전 대비 2℃보다 ‘훨씬 작게’, 1.5℃까지 제한하는데 노력하고, 각국이 5년마다 탄소감축 이행을 검토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온실가스 배출 세계 7위 국가인 우리나라도 탄소감축에 적극 동참해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됐다. 한국은 이번에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약속을 내놓았다. 화석연료에 의존한 에너지 집약적 제조업으로 성장해온 우리 경제구조가 감당하기 어려운 과도하고 비현실적 목표로 산업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

그럼에도 이제 우리는 저탄소 경제로 나아가지 않으면 안되게 됐다. 기존 에너지정책의 수정,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소비구조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우선 과제는 태양광·풍력·수력·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확대인데, 이들 자원부존량이 빈약하고 낮은 경제성으로 전망이 밝지 않은 것이 문제다.

다만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창조적 사업모델을 발굴한다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길을 찾아야 하는 것이 당면 과제다. 또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녹색기후기금(GCF) 사업이 새로운 기회가 될수 있다. GCF는 2020년부터 매년 1000억달러 규모의 기금이 조성될 예정으로 인천 송도에 사무국이 설치돼 있다. GCF는 건설, 토목 등 다양한 사업으로 대규모 기후변화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가 기술적 강점을 분야들이고 보면 이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