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좀비기업’ 경보, 수술이 급하다

사설
입력일 2015-10-04 16:16 수정일 2015-10-04 16:55 발행일 2015-10-05 2면
인쇄아이콘

영업활동을 통해 대출 이자나 원금을 갚지 못하고 금융지원으로 연명하는 ‘좀비기업’이 급증, 우리 경제의 심각한 위협요소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보다 오히려 이들 좀비기업 부채를 금융시스템의 최대 부실요인으로 보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이 시작되면, 그 충격으로 이들의 줄도산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LG경제연구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628개 비금융 상장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도는 좀비기업이 2010년 24.7%에서 올해 1분기 34.9%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은 영업이익으로 대출이자도 못갚는다는 뜻이다. 지난 6월 발표된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에서도 외부감사를 받는 전체 기업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이 2009년 12.8%에서 지난해 말 15.2%로 높아졌고, 특히 대기업의 그 비중은 9.3%에서 14.8%로 급격히 늘어났다. 대기업 7곳중 하나는 정상기업이 아니라는 얘기다.

업종을 가리지 않고 한계기업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 큰 문제다. 조선업과 건설, 철강, 섬유, 전자 등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대부분의 산업에서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상당수 한계기업들이 구조조정이나 혁신 노력보다는 초저금리에 기댄 차입경영으로 버텨온 까닭이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 국면으로 바뀌면 금융권에 직격탄이 될수 밖에 없다.

이들 기업의 추가 부실을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좀비기업 부채가 금융권 부실과 나라 경제의 위기로 번지기 전에 과감한 수술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결국 금융권이 강력한 구조조정의 칼자루를 쥘 수 밖에 없다. 채권은행들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좀비기업들을 주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성장 둔화 등 앞으로 기업 여건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금융당국과 채권은행들은 이들 변수를 고려한 대출기업들의 스트레스테스트와 함께 상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