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초저마진에 묶인 중소기업… 갈길 먼 동반성장

차종혁 기자
입력일 2015-02-09 16:31 수정일 2015-02-09 16:39 발행일 2015-02-10 9면
인쇄아이콘
정부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겠다며 다양한 지원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의 등쌀에 성장할 여력이 없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15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로드맵 세미나’에서는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 선점을 위해선 대기업이 보유한 글로벌 경쟁력을 중소 장비, 소재 분야로 적극 확산 공유해야 한다”는 논의가 오갔다. 세미나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대기업은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선진국에 비해 기업 규모나 기술력 면에서 취약하다”는 지적과 함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이어졌다.

정부와 대기업이 창조경제혁신센터, 이노베이션센터 등 투자와 정책을 쏟아붓고 있지만 정부의 보여주기식 행정일 뿐 중소기업이 마주치는 현실과 는 다르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최저 마진에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하청업체로 종속돼 간신히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 인력 충원이나 기술개발 투자를 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정보통신산업협동조합의 고위 관계자는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80% 이상이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하도급업체다보니 초저마진에 일을 맡아 하는 상황”이라며 “간신히 사업을 운영해가는 상황에 고급 인력 채용이나 기술개발은 불가능한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하청업체가 아닌 대·중견기업에서 원자재를 구매하는 중소기업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철선공업협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시장가격은 그대로인데 원자재를 비싼 가격에 구매하니 중소기업들은 쓰러질 판”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중소기업 관계자들은 일정 규모 이하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 법적으로 중소기업의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정책본부장은 “업종별 상황에 따라 적합업종 지정을 통해 일정기간 보호기간을 갖고 육성할 필요는 있다”면서도 “모든 업종을 적합업종으로 지정할 수는 없어 근본 해결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이어 “동반성장위원회가 실질적 개선방안을 내놓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차종혁 기자 cha@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