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기업, 후속조치 부실해 규제개혁 체감 떨어져”

차종혁 기자
입력일 2015-02-01 15:01 수정일 2015-02-01 15:09 발행일 2015-02-01 99면
인쇄아이콘
후속조치 지연·개혁 성과 미흡 등이 규제개혁 체감도 감소 요인
“계획 중심서 성과 중심 평가로 전환해야 만족도 높아질 것”
규제개혁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기준=100점, 한국개발연구원=5점)
구분 조사기관(조사기간) 조사항목 점수 기관별 평균
후속집행의 신속성 규제개혁위원회(2013) 정책집행의  신속성 66.7 67.9
전국경제인연합회(2014.3) 법령개선  등 신속한 후속조치 89.9 94.6
대한상공회의소(2010,2011 평균) 법령개정  등 후속조치 26.9 38.1
한국개발연구원(KDI)(2014. 9.) 건의과제  처리기간 2.66 2.7
실질적 규제개혁 성과 규제개혁위원회(2013) 질적인  규제개혁 성과 67.6 67.9
대한상공회의소(2010,2011 평균) 규제개혁  성과 31.3 38.1
한국개발연구원(KDI)(2014. 9.) 규제개혁  성과 2.63 2.7
의견수렴의 적극성 규제개혁위원회(2013) 국민의견  수렴정도 66.1 67.9
전국경제인연합회(2014. 3.) 공무원의  마인드태도 개선 84.2 94.6
한국개발연구원(KDI)(2014. 9.) 기업과의  소통 2.59 2.7
공무원의 규제개혁 의식 2.58
자료 : 한국경제연구원

국내 기업들이 규제개혁에 대한 체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개혁 후속조치가 지연되는 게 가장 큰 이유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31일 ‘규제개혁 체감도 저하요인 비교 및 개선과제’ 보고서를 통해 규제개혁의 체감도 감소 요인으로 후속조치의 지연, 개혁성과 미흡, 소극적 의견수렴 등을 꼽았다. 규제개혁 체감도 저하요인 연구는 규제개혁위원회(규개위)·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한국개발연구원(KDI)의 규제개혁 만족도 설문결과를 토대로 진행됐다. 각 기관의 규제개혁 만족도 평균치는 규개위 67.9점, 전경련 94.6점, 대한상의 38.1점, KDI 2.7점(기준=100, KDI=5)이었다.

기업들이 규제개혁 체감도가 낮은 이유에 대해 물은 결과 규개위, 전경련 등 전 기관에서 후속조치의 지연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후속집행의 신속성’ 항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규개위 66.7점, 전경련 89.9점, 대한상의 26.9점, KDI 2.66점으로 모든 기관 조사에서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규제개혁의 후속조치가 지연되는 이유가 정부 평가에서 이행실적에 대한 반영률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김현종 한경연 기업정책연구실장은 “정부부처 규제개혁 성과를 평가할 때 후속조치 수행 항목의 평가배점이 10%에 불과하다”며 “이행율을 높이기 위한 평가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또 규제개혁의 성과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미흡한 점도 만족도 하락의 요인으로 꼽았다. 기관별 규제개혁 성과에 대한 평가점수는 규개위 67.6점, 대한상의 31.3점, KDI 2.63점으로 평균에 못 미쳤다. 김현종 실장은 “규제개혁의 질을 가늠하는 척도는 규제비용”이라며 “우리나라의 규제비용 부담 수준이 높은 점이 규제개혁 성과의 제약 요인으로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세계은행이 지난해 발표한 ‘Doing Business’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는 창업, 건축인허가, 재산권 등록에 대한 비용부담이 OECD 회원국 평균 수준보다 높았다. 특히 창업 소요 비용 점수는 14.5로 OECD 회원국 평균(3.4)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담당 공무원들의 수동적인 자세도 체감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국민의견 수렴정도·기업과의 소통’에 대한 평가점수가 규개위 66.1점, 전경련 84.2점, KDI 2.59(기업 소통), 2.58점(공무원의 규제개혁 의식)으로 나타나는 등 각 기관 조사항목 평균보다 낮았다. 보고서는 규제개혁 종합성과 평가지표에서 국민과 기업이 제기한 개선·건의 수용률은 100점 만점 중 5점에 불과하고, 규제개혁에 대한 고객만족도 역시 20%로 상대적으로 낮아 의견수렴의 제도적 인센티브가 약하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기업들이 체감하는 규제개혁 만족도를 높이려면 정부부처의 규제개혁 채점표를 계획보다 성과 중심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현종 실장은 “규제개혁 체감도를 높이려면 정부부처의 규제개혁 실적을 평가할 때 계획보다 결과에 중점을 둬야 한다”며 “현재 전체 평가점수의 30% 내외인 규제개혁 이행실적과 효과성 분야의 평가배점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차종혁 기자 cha@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