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종 된 ‘안전 한국’·‘국가혁신’ 인양할 때다

사설 기자
입력일 2014-11-12 16:00 수정일 2014-11-12 16:00 발행일 2014-11-12 23면
인쇄아이콘

세월호 실종자 수색이 공식적으로 종료됐다. 4월 16일 참사가 일어난 지 209일 만이다. 304명의 희생자 가운데 아직 9명의 시신을 찾지 못한 실종자 가족들은 “무리한 수색작업으로 또 다른 희생자가 나오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수색 중단을 요청 했다. 정부가 이를 받아들여 “마지막 분까지 찾아드리지 못해 미안하다”고 사과하며 수색 종료를 선언한 것이다. 용단을 내린 실종자 가족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

광주지법 제11형사부는 1심 선고 공판에서 이준석 선장에게 유기치사죄 등을 적용해 징역 36년을 선고했다. 나머지 승무원 14명에게는 징역 5∼30년이 선고됐다. 세월호 관련자는 단죄되고 수색이 종료됐지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세월호를 인양할 것인지, 해상 추모공원으로 만들 것인지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희생자 보상 문제도 슬기롭게 풀어가야 할 과제다. 세월호 특별법을 바탕으로 참사의 진상을 밝히고 재발방지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념이나 정파의 굴레 속으로 몰아넣어서는 또 다른 갈등만 부추길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는 우리사회의 부끄러운 민낯을 그대로 드러냈다. 대한민국 전체가 세월호에 갇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 사회는 합리적 이성보다는 감성에 휘둘렸다. 야당은 정쟁만 부추기는 무책임한 행태를 보였다. 언론의 무분별한 과열 취재경쟁도 국민과 유가족들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불미스러운 대리기사 폭력사태와 실종자가족 변호사에게 물리력을 행사한 것도 미간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우리 사회가 성숙하지 못하다는 방증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연이어 터진 대형 인재는 한국사회의 고질적 현상이다. 집단 트라우마를 겪고 나서도 안전의식은 전혀 변하지 않았음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난 5월 19일 박근혜 대통령은 눈물을 보이며 ‘국가 개조’를 다짐했지만 조금도 변한 것이 없다. 다시는 후진국성 참변과 사회분열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안전 한국’과 ‘국가 혁신’에 지혜와 힘을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