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31개 시군,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구매 인색

양규현 기자
입력일 2014-09-21 11:23 수정일 2014-09-21 14:51 발행일 2014-09-21 99면
인쇄아이콘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의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구매비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활성화경기네트워크는 지난 7월 경기도와 시군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2012∼2013년 사회경제적조직(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제품 구매실적을 조사했다.

그 결과 2013년 사회적경제조직에서 물품구매 및 용역계약한 금액은 474억2600만원으로 2012년 398억9900만원보다 18.9%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도와 31개 시군이 구매한 물품 및 용역계약 총액 8천782억9300만원에 비하면 사회적경제조직에서 구매한 금액은 5.4%에 불과한 수치다.

지난해 시군별 구매비율을 살펴보면 성남시가 46.3%로 가장 높았다.

성남시가 폐기물수거처리계약 등 시의 위탁사업대상을 시민이 출자해 운영하는 시민기업에 맡기는 등 사회적경제조직을 적극적으로 육성한 결과다.

성남시 다음으로는 포천시 12.3%, 오산시 11.7%, 남양주시 10.2%, 부천시 9.6% 등 순이다.

그러나 압도적으로 많은 성남시를 제외하면 도와 나머지 30개 시군의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평균구매율은 3.3%로 떨어진다.

경기도(2.4%)를 비롯해 평택(2.1%), 화성(1.7%), 수원(1.2%), 고양(0.7%), 안성(0.2%), 하남(0.1%) 등 22개 지자체의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구매비율은 3%에도 못 미친다.

제품구매도 사회적기업(예비사회적기업)에 몰려 있고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의 제품은 잘 사지 않고 있다.

지난해 사회적기업 구매액은 472억3000만원(99.6%)인 반면 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구매액은 1억8000만원(0.4%)에 그쳤다.

그나마 광명 4590만원, 구리 2990만원, 군포 460만원, 안성 290만원, 양평 1억원 등 5곳만이 사회적기업을 제외한 다른 사회경제조직에서 물품을 구매했다.

이와 관련 박은호(47) 사무국장은 “사회적경제조직은 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지역공동체 경제’ 성격이 크다”면서 “정부가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을 추진하는 만큼, 지자체도 관련 조례를 정비해 공동구매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양규현 기자 yanggh@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