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금융혁신에 '상생 가치'도 담아야

이지은 기자
입력일 2022-06-09 08:47 수정일 2022-06-15 02:00 발행일 2022-06-10 19면
인쇄아이콘
clip20220609035656
이지은 금융증권부 기자

코로나19 시기에 비대면 문화가 일상에 스며들면서 금융권 지점영업에 과도한 사업비를 투입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금융사들이 저비용 고효율을 실현하기 위한 ‘혁신’에 박차를 가하면서 ‘영업의 꽃’으로 불리던 판매 인력들과 점포가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금융감독원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생명보험사 전속 보험설계사는 6만 8958명으로 전년 대비 무려 2만 5908명이 줄어들었다. 카드업계도 2017년 말 1만 6658명에 달했던 카드모집인 수는 불과 5년만에 8139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고는 하지만 그 방식이 비용감축을 통한 고효율 달성에만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게 문제다. 카드사와 캐피탈, 보험사들이 영업비용을 과도하게 감축하면서 각 업권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은 최저 생활비를 벌기도 힘든 수준에 처했다.

실제 카드모집인들은 한 달 발급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수당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 대출상담사의 경우 기본급 체계가 사라렸다. 10년 전만 해도 7000만원의 대출 실적을 올리면 기본급 50만원에 4%의 인센티브를 받았다던 상담사들은 이제 같은 금액의 계약을 따내도 2%의 인센티브만 받고 있다.

비용 감축에 방점을 둔 경영은 눈앞의 ‘흑자’를 가져다 줄 수 있어도 성장의 지속성을 100% 장담할 수 없다. 수만 명에 이르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는다면 고용시장 침체와 경제 활력 저하에 따른 나라경제 전체적 비용도 감안해야 한다. 사상 최대 이익을 자랑하는 금융업계가 상대적 사회 취약 주체를 비용만 따져 내몰아서는 안된다.

이지은 금융증권부 기자 jelee0429@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