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평창 올림픽 놓고 이념대결은 이제 그만

서예진 기자
입력일 2018-02-04 13:53 수정일 2018-02-04 14:08 발행일 2018-02-05 23면
인쇄아이콘
3-4
서예진 정책팀 기자

평창 동계올림픽이 4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축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은 아직 ‘정쟁 중단 결의안’을 채택하지 못한 채 시간만 보내고 있다. 심지어 ‘평양 올림픽’이냐 ‘평창 올림픽’이냐를 두고 설전이 여전하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지난 3일 페이스북에 “‘평양 올림픽’이 끝나면 문재인 정권은 민노총, 전교조, 좌파 시민단체, 문슬람, 탈취한 어용방송, 좌파신문만 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4일 “아직까지 평창 올림픽을 ‘평양 올림픽’으로 부르겠다면 평창 올림픽을 보이콧 하겠다는 것인지 답해야 한다. 제발 한국당은 이성을 찾으라”며 비판 논평을 냈다.

북한의 최근 행보가 우려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최근 미국에서 나온 대북 압박 메시지도 심상치 않다. 제한적 선제타격을 뜻하는 ‘코피 전략’ 검토 사실이 흘러나왔고, 스티브 골드스타인 국무부 차관은 “북한 열병식이 2월 8일 개최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우려 섞인 코멘트를 내놓았다.

북한은 그러나 8일 건군절 70주년 기념 열병식을 강행키로 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3일 “국가적 기념일에 열병식을 하든 무슨 집회를 하든 남이 상관할 바가 아니다. 이런 것을 생억지, 생트집이라고 하는 것”이라며 강한 불쾌감까지 드러냈다. 이런 긴장 국면 속에서 정치권은 여전히 이념 논란이 뒤섞인 설전만 벌이고 있다.

전세계가 평창에 우려 섞인 시선을 보냈던 것은 한반도 긴장국면 때문이었다. 역대 최대인 총 92개국 2925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이 대화 모드로 갈지, 더욱 엄혹한 대치 국면으로 갈 지는 북한 태도에 달렸다. 그렇지만 북한을 변화시키려면 우리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도 긴요하다. ‘평창’ 개막이 임박한 시점에서 여전히 정쟁만 일삼는 정치권의 태도가 아쉽다.

서예진 정책팀 기자 syj.0210@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