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개 그룹 해외법인, 129개국 총 5686개… 한화, 739개 ‘최다’

박기태 기자
입력일 2023-08-08 11:08 수정일 2023-08-08 11:16 발행일 2023-08-08 99면
인쇄아이콘
CXO연구소 조사… SK 598곳, 삼성 566곳 ‘톱3’
국가별로는 미국 1321곳 ‘1위’… 중국·베트남 順
2번 그룹별 해외법인수

국내 82개 그룹이 다른 나라에 세운 해외법인은 올해 기준 총 5680여곳으로 국내에 설립한 계열사보다 2600곳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에서도 미국에 세운 해외법인이 최다였고, 중국에는 다음으로 많은 회사를 운영 중이었다.

삼성은 지난 2018년 이후 5년 새 100여곳에 달하는 해외법인을 정리한 반면, 한화는 같은 기간 400곳 이상 늘렸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내 82개 그룹 해외법인 현황 분석’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자산 5조원 이상으로 지정한 82개 그룹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내 82개 그룹이 높은 지분을 통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해외법인은 총 129개국에 걸쳐 5686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공정위 지정 대기업 집단에서 운영 중인 5287개 해외법인 보다 399곳 늘어난 수치다. 특히 82개 그룹의 국내 계열사 숫자는 올해 기준 3076곳인데, 해외법인은 이보다 2610곳 많았다.

82개 그룹 중 한화가 739곳으로 가장 많은 해외법인을 뒀다. 지난해(637곳)와 비교하면 1년 새 102곳 증가한 것이다. 특히 한화는 지난해 대비 올해 공시 기준으로 미국에 세운 해외법인이 198곳에서 241곳으로 45곳 늘었고, 스페인에 설립한 해외법인도 83곳에서 105곳으로 22곳 더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화 다음으로 해외법인이 많은 그룹은 SK였다. 올해 기준 해외법인은 598곳으로, 지난해(541곳)보다 57곳 증가했다. 2021년 367개 해외법인을 둔 것을 감안하면 2년 새 231곳이나 많은 회사가 타국에 세워졌다.

삼성은 총 566곳으로 한화, SK 다음으로 3번째로 많은 해외법인을 뒀다. 삼성은 지난 2021년까지만 해도 국내 그룹 중 가장 많은 해외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었는데, 지난해부터 최다 해외법인 보유 그룹이라는 타이틀을 반납했다. 특히 삼성은 지난 2018년만 해도 663개나 되는 해외법인을 뒀지만, 이후 2019년(626곳), 2020년(608곳), 2021년(594곳), 2022년(575곳)에 이어 지난해까지 지속적으로 해외법인 숫자를 줄였다. 2018년 이후 5년 새 문을 닫은 해외법인만 총 99곳에 달했다.

3번 그룹별 해외법인 변동

특히 삼성은 중국에서만 최근 5년새 해외법인 22곳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18년 87곳이던 삼성의 중국법인은 올해 65곳에 그쳤다. 브렉시트(Brexit) 이슈로 주목을 끌었던 영국에서도 삼성은 2018년 47곳이던 해외법인을 올해 32곳으로 5년새 15곳을 철수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 SK, 삼성 다음으로 △CJ(393곳) △LG(278곳) △롯데(204곳) △GS(156곳) △포스코(142곳) △네이버(105곳) 순으로 해외법인 숫자가 많았다.

국가별로 보면, 올해 기준 82개 그룹의 해외법인은 미국이 1321곳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된 1169곳보다 152곳 늘어난 수치다. 전체 해외계열사 중 미국 법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18.8%에서 지난해 22.1%로 증가했고, 올해는 23.2%로 1년 새 1.1%포인트 더 높아졌다.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시장을 중요한 사업 무대로 여기고 있다는 방증이다.

미국 다음으로 중국에는 845곳이나 되는 해외법인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은 미국과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대비 올해 대기업 집단에 있는 해외법인 숫자가 400곳 정도 증가했지만, 중국 법인은 겨우 5곳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체 해외법인 중 중국에 설립된 해외계열사 비중도 지난해 15.9%에서 올해 14.9%로 1%포인트 정도 감소했다.

지난 2021년에는 홍콩을 포함한 중국 법인 숫자가 1037곳으로 미국에 둔 법인보다 152곳 많았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에는 미국 법인(1169곳)이 중국(홍콩 포함) 법인(994곳)보다 175곳 많아지며 역전됐다. 올해는 미국 법인이 중국(홍콩 포함)보다 322곳 많아져 격차는 더 벌어졌다. 한국CXO연구소 측은 “중국은 여전히 우리 대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이지만 최근에는 그 인기가 조금 시들해지고 있는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특히 홍콩에 세운 법인 숫자는 2020년 170곳이었는데 2021년 163곳으로 줄더니 지난해에는 154곳으로 감소했다. 올해도 154곳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홍콩에는 더 이상 새로운 법인을 세우지 않았다는 얘기다.

홍콩과 달리 싱가포르에는 국내 주요 그룹이 지배하고 있는 회사가 점점 증가하며 대조를 이뤘다. 싱가포르에 세운 해외법인은 2021년 167곳에서 지난해 186곳으로 많아지더니, 올해는 206곳으로 1년 새 20곳이나 많아졌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아시아 금융허브 도시로 홍콩보다는 싱가포르를 더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는 대목이다.

4번 국가별 법인수 현황 (1)

올해 조사에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외국에 법인을 많이 세운 나라는 베트남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1년 새 베트남에 세운 국내 그룹의 해외 계열사 수는 지난해 268곳에서 올해 299곳으로 31곳이나 회사 간판을 더 달았다. 그만큼 우리나라 기업들이 베트남을 생산거점 국가는 물론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는 중요한 사업 전락 요충지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이어 △일본 210곳(지난해 208곳) △프랑스 190곳(181곳) △인도네시아 187(166곳) △인도 154곳(142곳) △스페인 140곳(116곳) 순으로 올해 파악된 해외법인 수가 많았다. 최근 전쟁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에는 지난해와 올해 모두 12개 법인을 두고 있었고, 러시아에 둔 법인도 지난해와 올해 63곳으로 동일했다.

올해 조사에서 버진아일랜드, 케이맨제도, 마샬아일랜드 등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와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조세피난처로 거론한 지역에 세운 국내 그룹의 해외법인 수는 107곳으로 지난해 106곳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 룩셈부르크와 라부안 등 조세회피성 국가 등으로 분류되는 곳에는 올해 666곳으로 지난해 645곳보다 20곳 정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82개 그룹의 해외법인 중 13.6%(773곳) 정도가 조세부담을 회피하거나 줄이기에 좋은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5번 조세회피처 (4)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대기업이 여러 국가에 해외법인을 많이 세우는 것은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전초 기지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다른 나라에 공장과 회사를 설립함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 등이 다소 줄어든다는 측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대목”이라고 했다.

박기태 기자 parkea11@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