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연구원, 보이스피싱 척결 위한 ‘노피싱 대책 연구’ 진행

홍보영 기자
배포일 2020-06-26 13:29 수정일 2020-06-26 13:29 발행일 2020-06-26 99면
인쇄아이콘
“디지털 범죄는 디지털로”…‘보이스피싱’ 정부 홍보대사 조성목 원장
GettyImages-jv11989489
(사진=게티이미지)

대표적 민생침해 유형인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고 척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이 수립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 연구기관인 서민금융연구원이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지난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보이스피싱 척결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힌 이후 정부는 금융·통신·수사의 협업을 통해 예방·차단시스템 구축, 강력한 단속과 엄정한 처벌,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 등을 담은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이런 가운데 서민금융연구원은 지난 5월 ‘노피싱 대책 연구팀’을 꾸려 진행한 연구기획을 마치고 다음 달부터 본격 연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올해 말경 나올 예정이다.

조성목 서민금융연구원장은 “피해규모가 해마다 급증하고 피싱 수법이 진화하는 것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준비하던 중이었는데 척결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가 나와 반긴다”며 “‘디지털 범죄는 디지털로 예방하고 잡는다’는 관점에서 기왕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담은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이번 연구가 정부의 정책운영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지난 23일 금융위원회의 보이스피싱예방 홍보대사로 임명돼 이번 정부의 대책수립과 시행에 참여하고 있다. 그는 금융감독원 선임국장 재직시절인 2015년 보이스피싱 예방 프로그램인 ‘그놈 목소리’를 기획해 그 해 하반기 피해액을 전년 동기대비 56.8%나 줄인 성과를 보이기도 한 보이스피싱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한편 작년 보이스피싱(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액은 6720억원으로 연간 기준 51.3% 증가한 금액이다. 이는 금융감독원 등에 신고 돼 통계에 잡힌 피해액으로 실제 피해액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수법 또한 진화해 ▲전화가로채기(악성 앱을 설치해 금융회사에 전화를 하더라도 보이스피싱 조직으로 통화가 연결되는 수법) ▲원격제어 앱 악용(허위 결제메시지를 전송한 후 원격제어 앱을 설치토록 유도해 금전탈취) ▲메신저 피싱(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해 지인을 사칭해 금전송금 유도) 등 신종 수법이 등장하는 등 통화유도에 속지 않는 기존 대응방법으로는 피해예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홍보영 기자 by.hong2@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