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큐, 현대차. 현대차는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요."
현지시간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내 회의실인 루스벨트룸에 마련된 단상에 서서 이같이 밝혔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미국 내 31조원(210억 달러) 투자 계획에 대해 ‘관세 예외’로 화답한 것이다.
내달 2일 예고된 ’예외없는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정 회장이 전격 투자에 나서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연신 “땡큐”를 외쳤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먼저 악수를 청한 이 도 정 회장이었다. 관세를 앞세워 미국의 ‘제조업 재건’에 나선 자신의 정책이 틀리지 않았음을 강조한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가 곧 매년 100만대 이상의 미국산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라며 “이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의미부여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1986년 미국 진출 이후 2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현재 미국 50개 주에서 57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추가 신규 투자를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이는 현대차가 미국에 투자한 사상 최대 규모"라고 강조했다. 세부 투자 내용으로는 △자동차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61억 달러 △미래산업·에너지 63억 달러 등 2028년까지 4년간 무려 210억 달러에 달한다.
특히, 발표 도중 환하게 웃기도 했던 정 회장은 국내 기업인 중 처음으로 2번째 임기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을 가졌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그 중, 미국 내 제철소 건립 계획에 대해 비중 있게 소개한 정 회장은 “역대 최대 규모인 이번 투자의 핵심은 미국의 철강과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강화할 60억 달러의 투자”라며 ”현대제철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건립할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미국인 1300명을 신규 고용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철강사인 현대제철은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톤(t) 생산 능력을 갖춘 미국 최초의 전기로 일관제철소를 건설한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3번째 공장(HMGMA)과 인접해 철강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상업 생산은 2029년이 목표다. 이와 관련 정 회장은 “더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미국의 자동차 공급망을 위한 근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준공을 앞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역시 생산능력을 기존 30만대에서 50만대로 키웠다. 정 회장은 “이 모든 노력은 우리의 미국내 공급망 현지화를 가속화할 것”이라면서 “현대차그룹은 미국 산업의 미래에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진정 위대한 기업인 현대와 함께하게 돼 큰 영광”이라고 정 회장을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자동차(자동차 생산 설비)가 전례없는 수준으로 이 나라로 들어오고 있다”며 "다른 것도 그렇게 되길 희망한다”고 다른 기업들을 압박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의 국내 및 미국 대규모 투자는 국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위축되지 않고 적극적인 도전과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으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인류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겠다는 의지”라며 "과감한 투자와 핵심 기술 내재화, 국내외 톱티어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력 등을 통해 미래 기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천원기 기자 1000@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