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Life(라이프)

[정책탐구생활] 현실이 된 기후위기…‘죽음의 온도’에 맞선 기후바이블(AR6)의 경고

온실가스 배출량 인위적 늘면 지구 기후 변화 ‘독’
인류활동 영향 지난 130여년간 지구 평균기온 0.85℃ 상승, 해수면 19cm 올라

입력 2022-06-26 13:48 | 신문게재 2022-06-27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sv
IPCC 6차 보고서가 제시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5단계로 구분한 것이다. 최저 배출 시나리오가 실현되더라도 1.5℃ 상승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마이너스 배출'로 돌아서면 피크를 찍은 온도를 다시 조금씩 낮출 수 있다. 아직은 배출량에 따른 차이가 미미하지만, 2030년이 넘으면 분명한 차이가 목격될 것이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위기가 현실화 되는 가운데 치솟는 지구의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 정도로 틀어막으려는 국제사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기후변화 평가보고서(Assessment Reports.AR)에 기록된 오늘의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지구가 불타고, 바다가 땅을 덮을 것’이란 경고는 음울한 현실이 되고 있다. 지구 온도와 해수면은 끝 모를 상승중이다. 최후의 선으로 일컬어지는 ‘죽음의 온도(2도)’에 도달하기 전 세계는, 그리고 한국은 AR6에 기록된 경고를 해소할 수 있을까. 당면한 과제가 만만찮다. 

 

'온실가스 감축으로 지구를 지켜주세요'<YONHAP NO-2336>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40% 위헌 헌법소원 심판 청구’ 기자회견에서 한 어린이가 직접 그린 지구 그림을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유례없는 기후 재난의 징조, 머리 맞댄 국제사회 ‘1.5℃ 상승 이내 유지’ 목표

지구온난화는 온실기체로 지구 온도가 자연 상태보다 상승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자연 상태에서 소수 비율로 존재하는 온실가스는 지구 온도를 유지하는 고마운 존재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이 인위적으로 늘면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독으로 작용한다

인류의 활동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목소리는 일찌감치 있어왔다. 산업화로 인한 검은 구름이 시대에 드리우던 지난 193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화석연료를 태울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한 영국 공학자(캘린더)의 주장이었다.

기후변화가 인류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을 정확히 깨닫는 데는 그보다 50여 년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온실 효과 증가로 지구가 달아오르고, 급기야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자각이 뒤늦게 이어졌다. 오늘날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은 1.09도 상승했고, 평균해수면도 2006년부터 1년에 3.7㎜씩 치솟고 있다.

유례 없는 기후 재난의 징조에 국제사회는 머리를 맞댔다. 198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창설은 첫 진전이었다. 그 후 4년 뒤 세계정상들이 모여 이뤄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서명부터 2015년 파리협정 채택에 이르기까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논의가 치열하게 이어졌다.

장장 20여년의 긴 논의 끝에 마련된 인류의 기후위기 대안은 ‘신기후체제’로 귀결된다. 핵심은 지구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상승 이하로 억제 하고 나아가 1.5도 상승 이내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골자다.


◇IPCC AR6의 경고 “아시아, 식량·물 안보 부문 위기 증가”

국제사회의 지구온도 ‘1.5도 상승 이내 억제’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밑바탕에 IPCC 기후변화 평가보고서(AR)가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기상기구‘(WMO)의 지원을 받아 창설된 IPCC는 3개 실무그룹(기후변화과학(1그룹), 영향·적응·취약성(2그룹), 기후변화 완화(3그룹))으로 구성된 AR을 수 년마다 발표하고 있다. 각국 정부는 AR을 토대로 기후변화 정책 수립,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AR 중 가장 최근 승인된 제6차 평가보고서(AR6)는 1.5도 상승을 억제키 위한 각 국의 기후변화 정책 수립과 2023년 시행될 파리협정 첫 이행점검 등 기후변화 논의의 근거자료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AR6 1·2실무보고서에는 ‘기후위기의 현재’가 생생히 담겨 있다. 지난해 8월 공개된 AR6 1실무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2040년 중 온도가 1.5도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 최대배출시나리오에는 오는 2081~2100년까지 3.3~5.7도까지 상승한다. 또 1.5도 지구온난화 도달 시 50년에 1번 빈도의 폭염 발생이 8.6배 증가 전망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포함된 아시아 지역의 극한 기온 발생 및 강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식량·물 안보 부문의 위기(리스크) 증가하고, 해안 도시를 중심으로 홍수로 인한 도시 기반시설의 피해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는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실제 우리나라도 기후위기 징후가 선연하다. 지난 106년간 평균기온이 1.8도 상승했으며, 폭염·한파 등 기상이변이 늘어난 상태다.

올해 2월 말 승인한 AR6 제2실무그룹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기후위기로 인한 취약성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모든 지역과 분야에서 적응 노력이 증가했고 최소 170개국에서 기후변화 정책에 적응을 포함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적응정책은 한정적인 규모 및 분야에서 단기 위기(리스크) 해결 위주로 시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AR6 2그룹 국내 총괄저자 “한국, 수질 위주 물 관리 정책…기후변화 리스크 우려

AR6 실무보고서에 담긴 이 같은 내용은 우리 정부도 귀 기울여야 할 조언으로 평가된다. AR6 2그룹(영향·적응·취약성) 국내 총괄저자로 참여한 정태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은 “(2그룹 실무보고서에) 잘못된 대책 수행을 하면 오히려 기후변화 리스크가 커진다는 내용이 (새로)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적응 노력이 잘못되면, 부적응을 통해서 오히려 기후변화 리스크가 커진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한 예로 정부의 최근 수질에 중심을 둔 물 관리 정책을 언급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더위 관련 인자 예측값이 증가하고 강한 호우·홍수가 빈번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서 정부의 물 대책 방향이 혹여 기후위기에 역효과를 주지 않을까 하는 염려다.

정 연구관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물 관리 측면에서 수량관리는 홍수, 가뭄하고 연관이 돼 있다. 수량관리가 강조가 돼야 함에도, 최근 물 관리는 생태환경·수질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편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IPCC는 파리협정의 목표로 기후변화에 맞설 최후의 선으로 산업화 이전 2도 상승으로 설정했다. 만약 그 아래인 1.5도로 제한할 경우 빈곤에 취약한 인구가 수억 명 줄고, 물 부족에 노출되는 인구가 최대 50%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인류가 ‘1.5도 상승 이내 억제’를 기필코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죽음의 온도(Death Temperature)에 맞선 기후바이블, AR에 기록된 메시지는 오늘 우리에게 묻고 있는 듯 하다. 자신의 경고를 해소할 의지와 역량이 있는지 말이다. AR6에 참여한 정 연구관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우리 환경·기상당국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타국은 각 부처를 총합 할 수 있는 총리실 직원 등이 IPCC 총회에 참석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기상청이 중심이다 전 분야를 포괄할 수 있는 부분에서 약하지 않나 싶다. 주무부처도 관심이 떨어지고, 다른 부처들 역시 자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세종=곽진성 기자 pen@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