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llenge(창업‧창직)

[비바100] '농사펀드'로 만드는 안전한 먹거리 문화

[스타트업]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농사펀드'

입력 2017-02-15 07:00 | 신문게재 2017-02-15 12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IMG_1900
박종범(뒷줄 왼쪽 첫 번째) 대표를 비롯한 농사펀드 직원이 논에서 일을 한 뒤 농부(가운데)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농사펀드)

 


 

농사펀드가 소비자의 안전 먹거리 문화 정착에 앞장서고 있다. 농사펀드는 소비자가 농부에게 투자해 보다 나은 농산물을 돌려받는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로, 현재 9120명의 회원이 농사펀드를 이용하고 있다. 매월 20명의 농부가 신규로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달까지 총 650개의 펀딩 프로젝트가 등록됐다.


농사펀드는 ‘농부가 별다른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어야 한다’가 기본 모토다. 중소농과 영세농의 가장 큰 문제는 영농자금 마련과 판로 문제라는 게 농사펀드의 설명이다. 때문에 박종범 농사펀드 대표는 최종 소비자가 안전한 먹거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농부가 마음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종범 대표는 “13년 농촌 관련 일을 해오며 현장에서 만난 농부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농사자금 마련과 판로 문제 해결이었다”며 “작은 규모라도 자신의 철학대로 안전한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부의 삶이 더 나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현재 유통구조 안에서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았다. 이에 2013년에 실험해보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가 현재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국내 농산물 유통구조는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할 수 없는 환경이다. 농사펀드에 따르면 대형 유통업체와 계약한 농부는 회사에서 원하는 규격, 모양, 등급 등을 맞춰야 한다. 이 경우 대량의 화학비료·농약·항생제 등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국은 최종 소비자가 이를 모두 섭취하게 된다는 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clip20170213221114

 



이 같은 농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사펀드는 농부와 소비자 사이에서 크라우드 펀딩이라는 ‘다리’를 통해 두 집단을 이어주고 있다. 이로써 투자자는 믿을 수 있는 농부의 농사 계획에 투자할 수 있게 되고, 농부는 투자 받은 기금으로 빚 없이 안전하게 농사를 지어 수확한 농작물로 판매 걱정 없이 상환할 수 있게 된다.

또 농사펀드는 기존의 농산물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소비자 맞춤 제품이나 재가공 상품 생산으로도 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생산자에게 직접 투자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한다는 모토를 추구하면서도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보인 셈이다.

예를 들어 ‘명란젓 프로젝트’의 경우 발색제와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 명란’을 생산하기 위해 진행된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는 오픈 1시간 만에 목표 금액인 75만 원을 100% 달성했으며, 28일 만에 목표액의 2238%인 1678만 30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애플 파이 프로젝트’ 역시 비슷한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B급이라고 불리는 잘 익은 사과를 이용해 애플 파이로 만들어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프로젝트였는 데 오픈 2일 만에 목표 금액인 50만 원을 100% 성공했다. 24일 후에는 목표액의 606%인 302만 9000원을 후원받아 농부는 20%의 추가 소득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밖에 농사 펀드는 자연재해 등과 같은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농부는 농작물과 관련해 자연재해나 병충해 등의 문제를 사전에 공지할 의무가 있다. 만약 이 같은 의무가 잘 지켜졌을 경우 리스크에 관한 피해는 투자자가 1/n으로 함께 나눈다. 이는 투자자 역시 향후 피해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 문제점과 향후 대처방안 등에 관해 승인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IMG_3534
농사펀드가 농부와 소비자를 ‘안전 먹거리’로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은 박종범 농사펀드 대표가 농촌에 직접 방문해 농사펀드를 알리고 있는 모습.(사진제공=농사펀드)

 



박 대표는 “만약 농부가 도주하거나 사전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농사펀드에서 책임을 진다”며 “아울러 투자금액은 농부에게 시기에 맞춰 순차적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모든 투자금을 받기 위해서는 농부 역시 제때 물건을 출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장기적으로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농업재해보험 등의 제도가 있다. 농부 개인이 가입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비싸다”라며 “아직은 농사펀드가 규모가 작아서 정부와 연계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향후에는 운영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규석 기자 seok@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