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단독] 환경부 AI 홍수예보체계 오보 확률 ‘10%’…물 재난 자초 우려

올해 초 실시 AI홍수예보체계 적합도 판단서 22개 지점 ‘불만족’
환경부 “개선된 AI 모델 등 찾는 연구개발 고민”

입력 2024-06-04 06:18 | 신문게재 2024-06-04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환경부의 홍수예보체계 자료(사진=환경부)
환경부 홍수예보체계 설명자료(사진=환경부)

 

환경부의 인공지능(AI) 홍수예보시스템의 부정확도가 10%에 육박하고 일부 홍수취약지역에 대한 예측은 궤도를 크게 어긋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AI 기반 홍수 예보 체계의 신속한 구축을 지시한 바 있는데, 정작 환경부가 마련한 AI 체계는 기술적으로 신뢰성이 낮아 오히려 물 재난을 자초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브릿지경제 취재 결과, 환경부가 구축한 AI 홍수예보 체계는 오보가 잇따라 발생하는 등 현재 수준으로는 신뢰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AI예보체계는 AI를 활용해 홍수관련 상황을 10분마다 자동으로 분석하고, 위험 상황 예상 시 예측 모형을 이용해 검증하고 특보를 발령하는 체계를 일컫는다. 윤 대통령의 관심도 각별했다. 지난해 환경부 업무보고와 국무회의에서도 AI 홍수 예보 체계의 조속한 구축을 지시한 바 있다

하지만 환경부가 올해 초 실시한 전국 223개 지점에 대한 홍수 예측 정확도를 판단한 결과, 부정확성이 약 10%였다. 223개 지점 중 22개 지점에서 부정확한 결과가 나왔다.

이와 관련, 환경부 관계자는 “AI 홍수예보가 예측대로 잘 나온 지점이 있는 반면, 예측이 맞지 않은 지점도 있었다”며 “정확한 예측을 하기에는 학습 자료가 부족한 곳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예를 들어 과거 홍수피해가 있었던 서울, 경기 광명 지역에 속하는 너부대교 부근은 홍수 취약지대로 평가된다. AI 홍수예보 체계는 이 지점 예측도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지점에 대한 AI 홍수예보체계의 적합도는 판단 기준(1을 만점으로 0.7이면 만족)에 크게 못 미치는 0.5 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대해 하천 구간이 짧고, 상·하류 학습자료 마땅치 않았다는 것이 환경부의 해명이다. 그러나 실제 상황이었다면 AI 홍수예보체계의 잘못된 예측으로 인해 홍수대응에 대한 혼선이 빚어지고, 인명·물적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경기 고양 원당교 인근이나 전남 광양 용강교 등 22개 지점의 홍수 예측도 만족스런 판정을 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가 국민세금으로 만든 AI 시스템의 홍수 예보 체계가 현재로서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10% 육박하는 부정확한 예측 결과는 AI 홍수예보 시스템이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게 하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애초 AI 홍수예보체계를 통한 홍수 위험 ‘자동표출’로 전담 인력 문제를 덜고 홍수특보지점을 확대하겠다는 목표였다. 하지만 실제 상황을 보면 기대했던 첨단·스마트 예보시스템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AI 홍수예보가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전문가들이 223개 지점을 일일이 들여다봐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223개 지점에 대해 담당 인력을 배치해 AI시스템에 의한 자동표출과, 전문 인력을 통한 수동표출을 병행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AI 홍수예보 체계 구축 이전보다 예측 인력이 오히려 늘어났다. 지금 인력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며 “개선된 AI 모델 등을 찾은 연구개발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곽진성 기자 pen@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