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한화·에코프로 등 대기업 7곳, 총수·친족에 RSU 약정…‘간접 지배력 강화수단’ 우려

대기업 5곳 중 1곳, 총수나 친족·임원에게 성과 보상 등 목적으로 한 주식 지급 약정
총수 77개 집단에서 314개 계열사의 지분 보유, 평균 지분율 8.2%

입력 2024-09-01 16:35 | 신문게재 2024-09-02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001

 

자산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 5곳 중 1곳이 총수나 친족·임원에게 성과 보상 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지급하는 약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7개 대기업은 동일인·친족과 20여건의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지급 약정을 체결한 것으로 조사됐다. RSU는 성과에 연동해 최종 주식 지급 규모를 결정하는 약정으로, RSU가 총수일가의 간접 지배력 강화 수단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는 만큼 지속적 관찰 필요성이 제기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5월 14일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88개 기업집단의 주식소유현황을 분석·공개했다고 1일 밝혔다. 분석 대상은 올해 5월 자산 5조원 이상인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88개 기업집단과 그 소속 회사 3318개사다.

올해 기업집단 현황공시를 통해 주식지급 약정체결 내역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17개 기업집단이 성과 보상의 목적으로 동일인, 친족, 임원과 417건의 주식지급 약정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기업은 SK, 현대자동차, 포스코, 한화, 신세계, KT, 카카오, LS, 두산, 네이버, 세아, 에코프로, 두나무, 아모레퍼시픽, 크래프톤, 대신증권, 한솔 이다. 집단별 체결 건수는 SK(231건), 두산(36건), 에코프로(27건), 포스코(26건), 한화(19건), 네이버(16건) 순으로 많았다.

대기업의 주식지급거래 약정 체결 현황은 올해 첫 공개됐다. 공정위는 지난 4월 대규모기업집단 공시 매뉴얼을 개정해 주식 지급거래 약정의 부여일, 주식 종류, 수량 등을 연 1회 공시토록 하고 있다. 주식거래 지급 약정이 총수 일가 등의 지분율 확대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중 RSU 주식지급 약정체결을 한 17개 기업집단 중 7개 집단은 동일인 또는 친족(19명, 총 22건)에 대해 주식을 지급키로 약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기업집단은 한화, LS, 두산, 에코프로, 아모레퍼시픽, 대신증권과 한솔이었다. 이 중 한화와 에코프로는 총수 2세에 RSU를 부여하는 약정을 체결한 것으로 조사됐다.

RSU는 가득조건이 충족되면 가득기간 이후 주식 귀속(지급)되는 유형의 주식지급 약정이다. 여기서 가득조건은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따라 거래상대방이 현금, 기타자산이나 기업의 지분상품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조건을 일컫는다.

정보름 공정위 기업집단관리과장은 “RSU 자체가 위법은 아니지만 경영권 승계의 간접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지는 않는지 등을 지속 감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체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총수·총수 관련자의 주식 비율)은 61.4%로 지난해(82개 집단, 61.7%)보다는 다소 줄었으나 60%를 넘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 있는 집단(78개)의 내부지분율은 지난해(72개 집단, 61.2%)와 유사한 수준(61.1%)으로, 이중 총수일가가 3.5%, 계열회사가 54.9%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전히 총수들이 낮은 지분으로 그룹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SK(0.40%), HD현대(0.46%), 카카오(0.48%) 순이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많은 기업집단은 한국앤컴퍼니그룹가 44.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소노인터내셔널(35.6%), KCC(35.1%) 등 순이었다.

총수는 77개 집단에서 314개 계열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총수의 평균 지분율은 8.2%였다. 총수 있는 집단의 계열회사 평균 지분율은 54.9%로 전년(54.7%)에 비해 0.2%p 높았다.

정 과장은 “총수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계열사 출자 등을 활용하여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고, 국외계열사와 공익법인의 출자 등을 통한 간접적인 지배력 유지와 강화 사례도 여전히 확인된다”고 평가했다.

세종=곽진성 기자 pen@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