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의료공백·코로나로 과부하 걸린 응급실, ‘경증·비응급 환자 분산’으로 해소 나선다

입력 2024-08-20 15:48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응급실에 비응급환자 오면 의료비 본인 부담 인상
(연합)

 

응급실이 의료공백 장기화와 여름철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인력난과 업무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병상을 축소하거나 진료를 중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정부는 전문의 진찰료 인상, 경증 환자 분산 등의 대책을 통해 응급실 과부하를 막겠다는 방침이다.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전문의·전공의 수는 1502명으로 지난해 말(1418명)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전공의 500여명이 이탈하면서 인력 문제가 발생했다. 업무 과중이 이어지자 전문의 일부도 병가를 내거나 휴직, 사직하면서 인력 공백은 가속화됐다.

이로 인해 8월 둘째 주 기준 전국 응급의료기관 408곳 중 25곳에서 응급실 병상을 축소했고, 일부 지역 응급의료기관에서는 진료가 중단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강원 속초의료원은 지난달 말 전문의 사직으로 응급실 운영이 7일간 중단됐고, 충북대병원 역시 전문의들의 휴직·병가로 지난 14일 응급실 진료를 잠시 멈췄다. 세종 충남대병원도 이달부터 매주 목요일에 한해 응급실 제한 진료를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재확산까지 더해지면서 더 많은 환자들이 응급실로 몰리고 있다. 지난달 기준 응급실에 내원한 코로나19 환자는 1만1627명으로 지난 6월(2240명)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20일 응급실 진료 관련 브리핑을 통해 최근 응급실 과부하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밝혔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일부 응급의료기관의 진료 중단에 대해 “전체 408곳 중 5곳에 해당되는 곳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진료제한으로, 응급실이 마비된 것이 아니라 일부 기능이 축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속초의료원, 충북대병원 응급실은 정상 운영 중이고, 순천향대 천안병원과 단국대병원도 다음 달이면 정상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응급실을 찾는 경증·비응급 환자가 44%에 달하는 만큼 이들을 분산하면 중증 응급환자를 진료할 여력을 확보할 것으로 봤다.

정 정책관은 “경증·비응급 환자를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기관에 해당하지 않지만 일반 응급실을 운영하거나 일정 시간 야간 진료를 하는 의료기관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전문의 진찰료 100% 인상과 전원 및 이송 조정을 지원하는 광역상황실 운영도 이어간다. 현재 4곳인 광역상황실은 2곳을 더 추가하고, 의료기관 분포를 고려한 지역별 이송지침도 마련키로 했다.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분산도 병행한다. 응급실 내원 코로나19 환자의 95% 이상이 동네 병·의원에서도 진료 가능한 중등증 이하에 해당하는 만큼 공공병원, 지방의료원 등에서 주말·야간에 이들을 진료할 수 있는 발열클리닉을 운영키로 했다. 또 코로나19 거점 병원 운영 경험이 있는 곳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하고, 여유 병상을 활용해 입원 환자를 진료할 계획이다.

정 정책관은 “소위 ‘응급실 뺑뺑이’(이송병원을 찾지 못해 응급실을 전전하는 현상)와 같은 이송 관련 문제들이 많이 있다”며 “의료개혁을 충실히 추진해 응급실 운영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고 응급환자를 수용할 인프라를 갖춰 비상진료 체계를 튼튼히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이한빛 기자 hble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