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AI·기후변화가 키운 전력 수요, ‘원전 재부상’에 답 있다

입력 2024-07-11 13:58 | 신문게재 2024-07-12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최남호 2차관 주재로 관련 기관·기업 관계자들과 원전 생태계 복원 정책 성과를 점검하는 회의를 열었다. ‘원전 생태계 완전 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란 타이틀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원자력발전소를 확대하는 법안에 갓 서명한 것과 비교할 때 과대포장된 느낌도 받는다. 미국에서 초당적 지지를 받는 원전 배치 가속화법(Advance Act)과 같은 원전 정책의 큰 줄기에 청신호가 켜지려면 우린 좀 멀었다. 언감생심(焉敢生心), 그런 마음을 품는 것조차 불온한 분위기다. 사실이 그렇다.

미국이 택한 원전 확대는 현실의 길이다. 전력 먹는 하마로 통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확충에 따른 발전 수요, 그리고 기후변화와 석탄발전 감축이라는 대명제를 놓고 내린 결단이다. 주요 7개국(G7)의 2035년 석탄화력발전 전면 중단 로드맵과 중국 원전 굴기 앞에서의 에너지 안보 등 다목적 계산이 깔려 있다. 이럴 때 우리가 할 일은 세계 최고 수준이던 원전 산업 경쟁력의 포석을 다시 까는 일이다. 소형모듈원전(SMR)도 익숙하다. 특히 대량의 냉각수가 불필요해 AI 시대에 유용한 발전 시스템이다.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로 AI 열풍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검증은 이미 끝났다. 생성형AI 챗GPT는 구글 검색보다 10배 가까운 2.9Wh의 전력이 소모된다. 우리는 더구나 전체 발전량에서 32.5%(2022년 기준)를 점유하는 석탄발전 상위국이다. 6년 앞인 2030년까지 석탄 비중을 20% 이상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어찌 실현할지 막막하다. 일본(29%)은 물론 독일(25%), 미국(16%)보다 많다. 이탈리아(4.9%), 영국(1.1%), 프랑스(1% 미만) 등과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여러 가지 이유에서 우리는 재부상하는 원전에서 AI 전력 수요와 석탄화력발전 감축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는 답을 얻는다.

탈(脫)원전-친(親)원전 국가의 이분법에서 우선 벗어나자. 무탄소 전력 생산과 관련 산업에서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서다. 미국 대선을 넉 달 앞둔 시점에 민주당은 청정 에너지원 전환에 속도를 내고 공화당은 일자리 창출과 에너지 패권을 원한다. 우리 정당과 다른 그 지점이 바로 미국 정치가 부러운 대목이다. 이념에 갇힌 우리 정치권에는 원자력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공감대가 부족하다. 원전 배치 가속화법으로 뭉친 미국에 얻고 갈 교훈이 있다. 정권 변화 영향을 덜 받는 원전 정책의 지속성까지도 부러워하며 배울 점이다. 확고한 에너지 리더십을 갖고 기후 위기,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데는 여야가 없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