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전국 > 서울·수도권

서울시, 민간과 협력해 반지하·옥탑방 등 주거약자 집수리 함께 돕는다

’22년 반지하 개선 시작으로 지난 6월까지 57가구 완료, 올해도 50가구 추가 지원 목표
28일(금) ‘시-대한주택건설협회 서울시회-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업무협약 체결

입력 2024-06-27 14:13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서울시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반지하 등 취약계층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주거안심동행 민관협력사업’을 올해도 이어나간다. 단열·방수 등 주택성능개선부터 도배·장판 교체 등 내부환경 공사까지 지원해 주거약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업 시작 후 2년여간 57개 가구에 대한 지원을 펼쳐 안락한 주거환경을 선물했고, 올해도 50개 가구에 대해 집수리를 진행한다.

서울시는 올해도 더 많은 기업 및 단체와 손잡고 총 50가구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지원가구 선정과 행정지원을 하고 민간기업과 단체는 주택 개보수에 필요한 자재·공사비 후원과 맞춤형 리모델링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22년 11월 중증 장애인 거주 반지하 주택 집수리를 시작으로 올해 6월까지 서울시, 한국해비타트, 그리고 22개 기업과 단체는 하수 역류, 악취, 누수와 습기로 벽지, 장판 등 곰팡이 발생 등 열악한 환경에 놓인 57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공사를 완료했다.

1


특히 작년부터 어르신·아동 가구까지 지원대상에 포함했고, 올해부터는 최소 주거면적 이하(예. 2인가구 기준 26㎡) 저층주택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등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거복지 사각지대 취약가구에 대한 지원을 위해 서울시는 오는 28일(금) 오전 11시 서울시청에서 ‘대한주택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지난 5월 ‘서울보증보험·한국해비타트’와의 업무협약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체결하는 협약이다.

협약식에는 한병용 주택정책실장, 홍경선 대한주택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 회장, 김현훈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이 참석한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반지하 주택 및 저층주택(최소주거면적 이하) 10가구에 대해 직접 시공을 맡아 맞춤형 집수리를 할 예정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 소속된 10개 회원사 ▲ ㈜관전종합건설 ▲대신이엔디(주) ▲(주)모아이엔시 ▲반석종합건설(주) ▲(주)손앤컴퍼니 ▲아주산업건설(주) ▲에이치건설(주) ▲예공종합건설(주) ▲(주)청다종합건설 ▲한성프러스종합건설(주)에서 주거취약가구 1가구씩을 전담해 집수리를 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는 소외계층의 복지향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기관으로, 관계 네트워크를 활용해 사각지대에 놓인 주거취약가구를 추천하거나 기부금 영수증에 관한 처리를 담당하게 된다.

2


그동안 지원 사례를 살펴보면, 반지하 거주하는 장애인부터 독거노인,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주거 취약가구에 대한 지원을 펼쳐왔다.

전반적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한 가구를 위해 바닥 미장 보수를 진행하였고, 도배ㆍ장판 교체, 보일러 배관 점검, 주방·화장실 전면 공사 등 대대적인 개선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으로 바꾸어 주었다.

이러한 ‘주거안심동행사업’을 위해 대우건설을 비롯한 다양한 기관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비 후원과 후원물품을 기부해 주거약자의 복지 향상에 도움의 손길을 보내왔다.

‘대우건설과 대한주택건설협회’에서는 사업비 각각 6억원, 4억원을 후원해 주었고, ‘한국해비타트’는 다양한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주거환경개선 공사를 주관하는 등의 역할 맡아 주었다.

한편, 현대리바트에서는 화장실, 주방가구와 싱크대 교체, LED 조명 교체 등 1억원 상당의 현물 제공과 직접 시공을 맡아 주거취약계층의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했다.

이외에도 한화호텔&리조트, 한국가스공사 등 여러 기관에서 후원금과 후원물품을 기부해 주거취약가구의 환경개선 및 주거생활안정에 도움을 주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민관협력형 주거안심동행 사업은 서울시의 다른 집수리사업과 달리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지만 소득과 자산 여건이 기준에서 안타깝게 벗어나 지원을 받지 못하던 분들까지 포함해 더욱 촘촘하게 지원하는 사업”이라며 “주거약자를 돕기 위한 서울시의 노력에 공감하고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기업에 감사함을 전하고 올해 총 50가구 지원을 목표로 보다 많은 기업·비영리단체와 협약을 체결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호 기자 kyh362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