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교육 · 행정

"소규모 대학에 브릿지 사업 지원을"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 대책 마련 시급

입력 2024-06-26 13:29 | 신문게재 2024-06-27 17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기술지주회사
2024 기술지주회사 정기워크숍 모습. (사진제공=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대학을 통한 혁신 스타트업의 발굴·육성에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이를 전담하는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지원 정책도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는 대학의 산학협력단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사업화를 목적으로, 교육부 소관의 산학협력촉진법에 의해 대부분 산학협력단이 100% 출자해 설립된다. 자회사에 대한 주식(지분 포함)처분 등으로 이익을 실현하는 비즈니스모델이다.

기업가형 대학으로 이름 높은 해외 유명 대학들도 하나같이 대학이 설립한 기술지주회사를 통해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 중이다. 국내는 2008년 설립되기 시작해 현재 83개사가 있다.

기술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꾸준히 회사가 증가하고는 있지만, 자회사의 엑시트(EXIT)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별다른 수익 창출 방안이 없어, 대부분이 정부의 관련 정책사업으로 운영경비를 조달한다.

일부는 산학협력단이 수행하던 기술이전업무(TLO)를 위탁받아 운영경비를 조달하고 있지만, 전체 이전비용의 약 20% 정도만 취할 수 있는 상황이다 보니 중소규모 대학은 한두 명의 인건비를 겨우 맞추는 형편이다.

정부의 기술지주회사 활성화에 대한 정책사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관련 정책은 교육부의 ‘브릿지3.0’사업 외에는 별다른 게 없다. 과기부가 하던 TMC도 새롭게 재편돼 기술지주회사와는 거리가 멀고, 중기부의 자회사 R&BD 사업도 3년 시행 후 종료됐다. 특히 브릿지3.0사업도 30개 대형 대학들만 참여하면서 중소규모 대학의 기술지주회사들은 좀처럼 성장 모멘텀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인건비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역량 있는 전문인력을 채용하기 어렵고, 그렇다 보니 자회사나 교원창업기업에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때문에 창업에 나선 많은 교수들은 기술지주회사 자회사로 등록하지 않고, 그냥 개인적으로 창업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이러한 중소규모 기술지주회사의 고충은 외부 전문가를 기술지주회사 대표로 영입하고 공격적으로 펀드를 결성해 자회사를 최근까지도 꽤 많이 늘린 대전지역 모대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회사는 올해 초 직원을 5명에서 4명으로 줄였다. 대학 전체 기술이전 수익 6억 원 중 1억 3000만~1억 4000만 원과 연구개발특구 사업 수행으로 5명의 인건비를 조달해왔지만, 특구사업이 내년부터 라이즈로 편입된다고 하면서 자칫하면 인건비를 맞추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자회사를 통한 투자수익 실현은 아직 몇 년은 더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지였다.

이 회사 대표는 “브릿지 사업은 사실 소규모 대학에 더 필요한 사업인데, 우리 같은 규모의 대학은 좀처럼 기회를 가질 수 없다”며 소규모 대학 전용의 사업 편성을 주문했다.

그는 또 “대학창업펀드도 이번에 도전했지만 서울에 큰 대학 3곳만 선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방대학을 살리자면서 대학기술사업화는 전부 큰 대학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가 대학창업을 정책 대상으로 설정하고 대학발 창업 전담기구인 기술지주회사 활성화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홍 기자 khw09092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