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이창용 “높은 생활비 탓에 인플레 둔화 체감 안 돼…구조개선 고민해야”

입력 2024-06-18 15:22 | 신문게재 2024-06-19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모두발언 하는 이창용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상승률 둔화를 체감하기 어려운 이유로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우리나라 생활비 수준을 지목했다. 이는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여러 정부 부처들이 함께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 총재는 강조했다.

이창용 총재는 18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의 목표는 인플레이션 즉,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2%)에서 안정되도록 유지해야 하는 것인데 물가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구조적인 요인이 있기에 한은의 통화정책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3.2%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에는 2.7%로 낮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같은 기간 2.8%에서 2.2%로 낮아지며 기조적인 물가 지표도 하향 안정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의 의식주와 관련된 필수 생활물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평균보다 60% 가량 더 높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초 5.0%에서 올해 5월 2.7%로 낮아졌지만 국민들께서 피부로 잘 느끼시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며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떠한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 때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한은에 따르면 식료품, 의류, 주거 등 의식주 비용은 OECD 평균(100) 보다 크게 높아 국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크다. 반면 전기·도시가스,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은 크게 낮지만 지속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품목별 가격격차는 과거보다 더욱 확대되며 품목별 물가가 양극화되는 모습이다.

이러한 현상은 구조적인 문제가 원인이며, 농산물 공급채널의 다양화, 유통구조 개선, 공공서비스 공급의 지속 가능성 확보 등이 개선방향으로 제시됐다. 이는 한은뿐만 아니라 각 정부부처들이 공조해서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한은은 물가상승률을 타겟팅하고 그에 대한 책임이 있지만 물가수준은 구조적인 문제”라며 “국민들이 체감하는 것은 물가상승률뿐만 아니라 물가수준에 의해서도 굉장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여러 부처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