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중국 이커머스 ‘습격’, 유통정책 개선으로 막아내야

입력 2024-06-17 13:40 | 신문게재 2024-06-18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들의 국내 진출이 매섭도록 공격적이다. 눈여겨볼 것은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유통업 진출 확대와 한국의 해외전자상거래 적자폭 확대다. 중국 이커머스 빅3사의 시장 성장률은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의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결과에 잘 나타난다.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중국 업체 영향력이 커진 1차 요인은 가격 경쟁력 차이다. 이것이 중국 이커머스 주요 3사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41%의 탄탄한 밑천이다. 중간 유통을 없애고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C2M 유통방식의 강점을 왜 중국 기업이 월등히 높게 누리는지는 숙고해볼 일이다. 저가와 획기적인 배송 시간 단축, 여기에 품질과 기술력까지 제대로 장착하고 한국 시장을 난타했을 경우까지 대비해두지 않으면 안 된다. 이미 그럴 단계에 왔다.

한국 시장이 물류 인프라가 탄탄하고 정보기술과 친숙한 성향은 글로벌 업체들에게 매력 요인이다. 소비자 후생 측면에선 값이 싸기 때문만은 아니고 전격적인 한국화 전략의 효과라고 봐야 한다.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면서 유통산업발전법은 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고치는 게 맞다. 한경협이 지적하듯이 영업시간 제한이나 온라인 구매 배송에 대한 규제가 중국 플랫폼 영향력 증대에 일조한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중국 이커머스 급성장에는 기술력 축적과 물류 경쟁력 제고, 원가 절감 등 우리가 약한 강점이 있음을 아울러 인정해야 한다. 진입장벽은 갈수록 낮아진다.

국내 유통·제조업 위기에는 규제 완화로 풀 수 있는 부분이 찾아보면 많다. 자체브랜드(PB) 상품을 부당하게 우선 노출했다는 쿠팡과 관련한 제재도 그러한 사례일 수 있다. 제품 진열 방식을 제한하면 산업을 위축시키고 가성비를 찾는 소비자를 외면하는 결과가 된다. 중국 이커머스 습격에 따른 국내 이커머스 업계의 타격은 납품하는 중소 제조업체의 기반까지 흔들게 된다. 중국 이커머스의 약점을 적절히 구사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5년 만에 2배 성장한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이다. 향후 5년은 그 속도가 더 빨라진다. 국내 이커머스 빅3 쿠팡과 G마켓, 11번가 등의 뒤를 쫓는 이커머스 업체를 따돌릴 K-커머스 생존전략을 찾아 나설 때다. 미국은 아마존을 밀어주고 중국은 알리, 테무 등을 밀어주는데 우리는 규제에 진심 아닌가. 한국의 해외 전자 상거래는 지난해 적자폭이 5조1000억 원에 이른다. 국내 업체에 절실한 건 규제 완화와 지원·진흥이다. 아무리 못해도 유통 경쟁력을 위축시키는 역차별은 없게 정책을 펴야 하지 않을까.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