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외교 · 통일

한일중 교육장관 한 자리에…미래교육 협력방안 모색

4년 5개월 만…교육분야 협력 활성화 방안 집중 논의

입력 2024-06-15 16:48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한일중 첫 교육장관회의 개최<YONHAP NO-1294>
제1회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에서 양 허우란 TCS 사무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

 

한국과 일본, 중국 교육장관이 4년 5개월 만에 만나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교육부는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의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다.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하며 이번 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에서 개최된 제3회 교육장관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다. 한국에서 한일중 교육장관회의가 개최된 것은 제1회인 2016년 이후 8년 만이다.

이번 회의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지난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이 인적 교류, 특히 청년세대 교류 중요성을 강조한 데 따라 이번 회의에서는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 활성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주요 의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3국 미래교육 협력 강화 방안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3국 협력 방안 △‘캠퍼스 아시아’ 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이다.

3국 장관은 회의 종료 후 ‘2024 한일중 교육혁신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한일중 3자 회의에 앞서 한일, 한중 양자 회의도 개최됐다. 한일 양자 회담에서 양국은 한일 인적 교류 활성화 방안, 저출생과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양국 정책 공유·협력 방안, 한일 대학 총장 포럼 활성화 방안 등을 주로 논의했다. 특히 지난해 3월과 5월 개최된 한일 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로 추진 중인 ‘한일 미래 청년세대 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한중 양자 회담에서는 디지털 교육정책 공유와 양국 협력 방안, 정부 초청 장학생 상호 파견 확대 등 고등교육 교류 활성화 방안, 한중 양국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부총리는 “3국의 미래 세대가 디지털 대전환 및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 블러’(Big Blur) 시대에 변화를 선도하고, 세계 공동 문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중국 정부와 함께 관심을 가지고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류용환 기자 fkxpfm@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