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교육 · 행정

카이스트 연구진, 폐플라스틱 재활용 높이는 해중합 기술 개발

입력 2024-05-26 08:28 | 신문게재 2024-05-27 1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525153702
중합과 해중합을 통한 고분자 나노구조체 형상의 가역적 변화 이미지. (자료제공=한국과학기술원)

기존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재융합하는 해중합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해중합 과정에서 환경 유해 물질을 걸러내 친환경 용기 등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더 가속화할 수 있도록 KAIST 연구진이 해중합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원리를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은 화학과 서명은 교수 연구팀이 고분자 자기조립을 활용해, 고분자의 해중합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중합은 간단한 분자 수준의 단량체들이 화학적 반응으로 연결되어 거대한 고분자 사슬을 형성하는 것을 말하며, 해중합은 고분자 사슬을 단량체 수준으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에 고분자를 해중합해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방법은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지만 효율성이 낮았다.

서 교수팀은 고분자 합성과정에서 자기조립이 일어날 때 해중합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발견, 자기조립이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질서와 무질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중합보다 해중합이 우세해지는 결과를 확인했다.

이를 이용해 천정온도 186도로 알려진 고분자가, 자기조립이 일어나는 선택적 용매에서는 천정온도가 90도로 감소되어 보다 낮은 온도에서 해중합을 유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고분자를 합성한 후 온도를 올려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구성하는 사슬을 재사용이 가능한 단량체로 분해했다. 다시 온도를 내리면 분해된 단량체는 다시 중합돼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지속가능한 자기조립 체계를 구현했다.

나노구조체의 형상은 사슬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연구팀은 온도를 올리고 내리면 그에 따라 구조체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관찰했다. 또한 점도와 같은 물성은 단량체 중에 고분자로 존재하는 비율에 의존하므로, 중합·해중합을 반복하면서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명은 교수는 “기존에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가 필요하여 어려움이 있었지만 고분자 자기조립을 활용하여 해중합 온도를 낮출 수 있었고 이 원리를 활용하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더 아메리칸 케미컬 소사이어티(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5월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류용환 기자 fkxpfm@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