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기업경영 · 재계

글로벌 행동주의펀드 '한국기업' 노린다…코로나 이후 9.6배 증가

2023년 23개 나라 중 美·日 이어 글로벌 3위
일본은 주주행동주의 확산에 상장 폐지 선언
행동주의펀드 공격…기업 방어권 도입해야

입력 2024-03-25 11:00 | 신문게재 2024-03-26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6_공격받은한국기업12

 

한국기업이 행동주의펀드의 집중 공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 가능성도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한국경제인연합회는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를 통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행동주의펀드의 공격을 받은 한국기업은 8개사에 그쳤으나 2023년에는 77개사로 9.6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경협이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연구위원에 의뢰한 것으로 한국 등 아시아 기업은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이 집중되고 있다.

 

실제 한국은 글로벌 데이터 리서치기관 딜리전트 기준 23개국 중 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행동주의펀드 공격도 전년보다 16.3% 늘어난 214건 발생했다. 9.6% 증가한 북미보다 훨씬 높았고, 유럽은 오히려 7.4% 감소했다.

 

이런 현상은 사모펀드나 일반 기관투자자들도 수익률 제고의 수단으로 행동주의 전략을 악용하면서 행동주의펀드와 일반 기관투자자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사모펀드 ‘워터톤 글로벌 리소스 매니지먼트’가 캐나다 광산회사 ‘허드베이 미네랄즈’ 지분 12%를 보유한 상황에서 이사 교체를 요구한 게 대표적이다.

 

행동주의펀드가 연합해 하나의 기업을 공격하는 ‘스와밍’도 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20년 7건에서 2021년 9건, 2022년 17건으로 늘었다. 스와밍 전략도 타깃 기업을 압박하는 손쉬운 수단임을 행동주의펀드가 체감하면서 기업 대응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다. 김수연 연구위원은 “행동주의 대응에 익숙하지 않은 아시아 기업이 글로벌 행동주의펀드의 손쉬운 먹잇감이 됐다”고 우려했다.

 

기업 103개사가 행동주의 공격을 받은 일본은 아예 회사를 비공개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비상장으로 전환한 일본 기업은 2015년 47개사에서 2022년 135개사로 3배 가까이 늘었는데, 주요 전환 사유가 행동주의펀드의 공격이라고 답했다.

 

한국 역시 자본시장 참여자의 자율성보다 정부 규제가 강한데다, 큰 손인 국민연금도 정부 입김에 크게 좌우되는 만큼 일본처럼 상장 폐지 사례가 속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행동주의펀드까지 압박에 나서면 기업이 경영권 방어를 위해 상장 폐지를 결정하거나 기피할 가능성이 있다고 김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기업 입장에서도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나 경영권 위협 시 자사주 매입 외에는 별다른 방어 수단이 없는 게 사실이다. 김수연 연구위원은 “기업도 기관투자자와의 소통을 활성화해야 하나 정부도 행동주의펀드의 지나친 공격에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방어수단을 제도화해야 한다”면서 “주주행동주의 부상 등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정부도 지배주주 견제와 감시 프레임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기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하고 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제도를 균형있게 설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천원기 기자 1000@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