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종목분석

증권사들 해외 부동산 잠재 리스크 有 "3.6조 손실 인식하지 않아"

입력 2024-02-15 14:08 | 신문게재 2024-02-16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215135624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펀드 평가손실 현황(사진=나이스 신용평가제공)

 

국내 증권사들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 펀드 중 3조6000억원어치에 대해서는 아직 한 번도 손실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로, 향후 추가 손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는 15일 ‘증권사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현황 및 관련 손실 점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나신평이 현재 신용도를 평가하는 25개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총액은 총 14조4000억원이다.

대부분은 완공된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임차 수익 등을 수취하는 구조인데, 부동산 펀드 및 리츠·지분투자 형태가 8조7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나신평에 따르면 해외 부동산 펀드 8조3000억원 가운데 절반 이상인 4조6000억원 규모에 대해서는 손실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40%가량인 1조8000억원어치를 지난해 9월 말 기준 평가손실로 인식한 상태다.

그러나 나신평은 나머지 약 3조6000억원의 해외 부동산 펀드에 대해서는 아직 손실을 한 번도 인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만기별로는 2023∼26년 사이에 만기가 도래할 펀드들에 대해 지난해 9월 말 기준 약 26% 평가손실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작년 4분기에도 해외 부동산 관련 손실을 추가 인식한 상태다.

다만 나신평은 “임차 수요 감소와 고금리 기조의 지속이 해외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해,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한 추가 손실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라고 분석했다.

증권사별로 살펴볼 때 지난해 9월 말 기준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규모가 1조원을 넘는 곳은 미래에셋, NH투자, 하나, 메리츠, 신한투자, 대신증권 등 6개사다.

나신평은 “이 증권사들의 자기자본 대비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가 약 31% 수준으로 관련한 양적 부담이 존재하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나신평은 “미래에셋, 하나, 메리츠, 신한투자 4개사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지난해 실적 저하가 크게 나타났다”며 “이들 증권사가 지난해 해외 부동산 관련 손실규모가 상당했던 점을 고려하면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해 대규모 손실 인식을 단행한 것이 실적 저하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보고서는 “금융지주회사 계열의 증권사라면 모기업으로부터 유상증자, 후순위성 채권 인수 등 지원 여력과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실제로 올해 연초 증권사를 보유한 금융지주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활발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최현주 기자 hyunjoo226@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