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종목분석

신영증권 "HMM 매각 딜 최종 무산…양측 명분 챙겨"

입력 2024-02-15 09:57 | 신문게재 2024-02-16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215092833
(사진=연합뉴스)

 

신영증권은 15일 HMM 매각 딜이 최종 무산된 것과 관련해 매각 측인 산업은행과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였던 하림 양측이 명분을 챙긴 과정이었다고 진단했다.

엄경아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팬오션의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 6500원을 제시했다. HMM은 홍해 리스크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1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하반기 부정적인 업황 전망을 고려해 투자의견은 ‘중립’으로 제시했다. 


앞서 엄 연구원은 작년 12월 ‘애널리스트 나부랭이’라며 HMM 매각 딜을 비판하는 보고서를 제출한 바 있다.

당시 그는 “기업 경영자는 일반인이 보지 못하는 미래를 보는 사람이라고 하는데 필자는 경영자가 아니고 애널리스트 나부랭이 일반인”이라며 “‘승자의 저주’가 예상됐던 팬오션의 주주가치 회복에는 1년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며 분석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24021513

그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선 “매각 조건만 7주 넘게 이야기하다가 끝난 딜이라고 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양측(산은·해진공과 하림그룹의 팬오션·JKL파트너스)이 필요한 명분을 챙긴 마무리였다”고 분석했다.


엄 연구원은 “공적자금 투입 후 정상화된 기업의 매각 시도는 당연한 수순”이라며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HMM의 밸류에이션이 상승했을 때 공적자금 회수를 시도조차 해보지 않았다고 한다면 차후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림 측은) 자체보유자금이 2조원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고금리에 인수자금 비중을 늘리는 것, 인수주체가 되는 계열사 주주에게 손을 빌리는 것 모두 기존주주의 주식보유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며 “잔여전환사채의 전환유예 혹은 상환허용, 최대주주로서 독립된 경영권 요구 등은 인수주체 기업 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합당한 노력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엄 연구원은 “HMM 매각 딜 무산으로 국내 해운사들에 대한 투자포인트는 업황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갔다”며 “자동차운반선, 부정기선, 정기선 순으로 업황이 긍정적”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업계 현대글로비스를 최선호주로 꼽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4만원을 유지했다.

최현주 기자 hyunjoo226@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