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태영건설, 워크아웃이냐 법정관리냐…채권단-당국, 태영 자구책 미흡에 '강경'

입력 2024-01-07 10:17 | 신문게재 2024-01-08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태영건설 채권단 설명회장으로<YONHAP NO-2227>
지난 3일 오후 서울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신청 관련 채권단 설명회에 관계자들이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태영그룹의 태영건설 워크아웃 추진을 위한 진정성에 금융당국 및 채권단의 의구심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 일각에서는 태영건설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현 단계에서 태영그룹이 전향적인 자구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이 무산되고 법정관리 수순으로 넘어갈 소지를 배제할 수 없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제시한 ‘최후통첩’ 시한인 지난 6일까지도 태영그룹은 자구안 확약 및 추가 대안 제시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채권자협의회는 오는 11일 열린다.

7일 금융권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정부는 태영그룹에 자구안 이행을 촉구하는 한편, 워크아웃 무산에 따른 ‘법정관리 시나리오’ 대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그룹이 자구안 확약 및 추가 대안 제시를 하지 않은 것에 따른 후속대책의 일환인 것이다.  

93

태영그룹은 지난 6일기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지원하지 않았고 에코비트 매각 추진 및 대금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 제공 및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지분 담보 제공 등 남은 3가지 자구안 이행과 관련해서도 이사회 결의를 통한 확약을 못했다.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내건 조항들을 이행하지 않은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늦어도 월요일(8일) 새벽에라도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넣어야 한다”며 “이게 이행이 안 되면 아무 것도 진전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부측 반응도 강고하다. 충분한 자구 계획과 확실한 이행 방안 없이 채권단 동의를 받을 수 없으며 채권단 동의가 안 되면 기업회생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게 정부측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그간 태영건설 법정관리 가능성을 낮게 점쳐왔지만 자구책 미비로 상황이 악화되는 모양새다. 태영그룹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 중 890억원을 티와이홀딩스 연대보증 채무를 갚는 데 사용했는데, 채권단과 당국은 이를 태영건설 지원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태영그룹이 경영권 유지를 목적으로 티와이홀딩스 연대보증 채무를 갚아놓고서 태영건설을 지원한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은 기존 4개 자구안 이외에 추가 자구안도 내놓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워크아웃 추진을 위한 진정성과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SBS나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활용한 유동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태영그룹으로서는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매각할 시 경영권이 흔들릴 수도 있어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티와이홀딩스 재무 위험이 발생할 경우 알짜 자회사 에코비트 지분 전량이 사모펀드에 넘어가는 구조인 점 등도 채권단에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그룹은 SBS 지분 매각이나 담보 제공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없다’는 취지로 일관해왔다.

태영건설과 채권단 간 파열음이 고조되면서 금융당국과 산업은행 움직임도 긴박해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놓고 준비하고 있다”며 “(법정관리 시에도) 시장에 혼란이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실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법정관리행이 확정될 경우 협력업체 공사대금 등 상거래채권까지 모든 채권이 동결되고 추가 자금 지원도 이뤄지지 않는다.

부동산 PF 리스크가 올해 금융시장 최대 ‘뇌관’으로 꼽히는 가운데 태영건설이 쓰러질 경우 위기가 일파만파 번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인지라 당국은 워크아웃 진행을 위해 최대한 태영측을 압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정부는 협력업체와 수분양자 보호 조치를 즉각 가동하고 시장안정조치도 대폭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현재 85조원 규모의 시장 안정 대책을 100조원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동성 지원 수단의 대표 격인 채권안정펀드 한도를 현재 20조원에서 30조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그 중 하나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