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교육 · 행정

카이스트 김경민 교수팀, 뉴로모픽 통각수용체 소자 구현

입력 2023-11-19 08:06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31119001253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인한 통각수용체의 동작 모식도. (자료제공=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전자소자인 멤리스터를 활용해 통증자극 민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뉴로모픽 통각수용체 소자를 구현했다고 19일 밝혔다.

통각수용체는 자극이 민감도의 임계치를 넘으면 통증 신호를 발생, 인체가 자극에서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각수용체의 신호 전달에는,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외부 자극에 대한 임계치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흥분 작용과 역균형을 이뤄 신경의 과도한 활성화를 방지하고, 다양한 외부 자극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가진다.

기존 연구에서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은 쉽게 구현할 수 있었으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임계치 조절 특성까지 동시에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중 전하 저장층 구조를 통해 외부에서의 자극에 대한 임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뉴로모픽 통각수용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전하 저장층은 각각 전도성을 조절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과 임계치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맡아 통각수용체의 필수적인 기능들인 통증 전달 특성, 통증 완화, 통증 민감화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소자는 온도 자극에도 반응하는 온도수용체 특성을 보였으며, 특억제성 상태를 제어해 단일 소자가 고온 범위와 저온 범위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가변적인 온도수용체 특성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통각수용체, 온도수용체 소자는 인간을 모방하는 휴머노이드 피부에 적용해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자극을 감지하는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김경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 작용의 특성을 단일 소자에 구현해, 간단한 반도체 기술로 복잡한 생물학적 감각신경계의 특성을 모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나노종합기술원, KAIST, 에스케이(SK)하이닉스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류용환 기자 fkxpfm@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