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기후위기 속 장애인②] 기후위기 우리 곁으로 '성큼'…국제·국내 대응 정책 '잰걸음'

[특별기획] 지구온난화 여파 기후위기, 인류 삶 위기로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 억제, 국제사회 결집 속도

입력 2023-09-24 14:41 | 신문게재 2023-09-25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KakaoTalk_20230923_162408400
갈라진 지구, 기후위기의 현실을 보여준다.(사진=픽사베이)

 

기후위기가 몰고 온 변화가 인류의 삶과 터전에 씻기 힘든 상흔을 내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온실기체로 지구 온도가 자연 상태보다 상승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오늘의 지구촌은 이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가 확연하다. 빈번한 이상기후로 극한의 폭염과 상식을 뛰어넘는 규모의 가뭄·홍수가 속출하고 있다.

이달 중순 북아프리카 리비아 동부 지역에서 일어난 최악의 기후재난이 그 단적인 예다. 이곳에는 강력한 폭풍우가 들이닥쳐 1만 5000여명에 달하는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해를 더할수록 목마름이 깊어지는 유럽의 가뭄도 기후위기의 음울한 현실을 보여준다.

살리물 허크 기후변화개발국제센터 책임자는 최근 브릿지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 영향이 예상보다 큰 규모 빠른 속도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발생한 기후 충격은 매우 크고 강력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기후 위기는 취약계층에 송곳처럼 파고든다. 지난해 8월 폭우로 관악 신림동 반지하 주택이 침수됐는데, 그곳에 살던 발달장애인이 숨지는 일이 있었다. 장애계는 신림동 반지하 참사를 발달장애인 참사로도 부른다. 기후위기에서 파생된 재난은, 향후 더욱 빈번·강화될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 나온다.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장은 “기후위기가 지금 껏 경험해 보지 못한 강한 강도로 우리나라에 닥쳐왔다. 강도와 빈도가 더 강해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선명해지는 기후위기 속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결집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일(현지시간)에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2023 기후목표 정상회의’는 기후위기 연대의 오늘이다. 오는 11월 30일에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릴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가 개최된다. 이 자리서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 내로 막기 위한 방안마련과 실행에 머리를 맞댈 전망이다.

1.5도 상승 억제가 갖는 함의가 크다. 앞서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맞설 한계선으로 산업화 이전 2도 상승을 설정한 바 있는데, 만약 이보다 진보된 1.5도 제한에 성공한다면 기후위기 완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1.5도 억제를 이루면 빈곤 취약 인구가 수억 명 감소하고 물 부족에 노출 인구가 최대 50% 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의 의지는 온실가스 배출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배출량 0으로 만든다는 ‘넷제로’ 목표로도 대변된다. 한국 역시 기후위기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초 2050 탄소중립의 비전과 이행체계, 온실가스 감축·녹색성장, 탄소중립 재정· 실천기반 등의 내용을 담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안’이 의결된 후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김진식 환경부 기후전략과장은 “자원순환부분에서 플라스틱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들이 전개되고 있다. 수송부분에서는 무공해·전기차 수소차의 단계적 확대보급과 더불어 무공해차가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사업 등을 실시 중”이라고 설명했다.

곽진성 기자 pen@viva100.com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