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명의칼럼

[명의칼럼] 라이딩 마라톤 등산… 봄이 되면 증가하는 장경인대증후군

입력 2022-03-10 08:54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박철 원장
박철 수원 윌스기념병원 관절센터 원장

새해 다짐으로 ‘운동’을 결심하는 경우가 많지만 ‘날이 따뜻해지면…’이란 조건이 붙어 봄으로 미뤄지기 일쑤다. 그래서 봄이 되면 운동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난다. 빠르게 걷기를 비롯해 달리기, 등산, 자전거타기 등 실외운동에 나서는 사람들이 부쩍 눈에 띈다.

운동을 하다보면 보면 외상이나 스포츠손상을 당하기 쉽다. 설사 큰 부상을 당하지는 않더라도 크고 작은 통증에 노출된다. 최근 운동량이 늘면서 무릎관절의 바깥 부위가 아프지만 병원에 가기에는 심하지 않은 통증이 발생했다면 장경인대증후군일 수 있다.

달리기나 자전거를 많이 타는 사람들이 주로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인 장경인대는 장골(엉덩이 뼈)에서 경골(정강이뼈)의 상부까지 이어지는 허벅지 바깥쪽에 위치한 두꺼운 대퇴 근막을 말한다. 장경인대는 무릎관절 외측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데 도움을 주고, 무릎 외측의 관절 안정성을 도모해주며, 보행 시에 무릎의 중심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또 걷거나 달리는 동작 중 무릎과 고관절의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다.

장경인대증후군은 달리기나 자전거타기처럼 반복적인 무릎관절 사용으로 장경인대가 마찰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장경인대는 무릎을 펼 때 앞쪽으로 이동하고, 무릎을 구부리면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발생하는 대퇴골과의 마찰이 장경인대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내리막길이나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심해지고, 무릎을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마찰음이 들리기도 하며, 증상이 심해질수록 경골이나 관절 측면을 따라 통증이 퍼져나가는 방사통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진단은 이학적 검사로 가능하다. 그러나 외측반월상연골판이나 외측의 연골이 손상될 때도 증상이 비슷할 수 있어 자기공명영상(MRI)를 통해서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장경인대증후군은 거의 대부분 비수술적인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과사용이 이 질환의 원인이므로 심한 활동의 중단 및 휴식이 전제돼야 한다. 진통소염제, 물리치료, 체외충격파나 도수치료, 초음파유도하 주사치료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윌스기념병원(수원) 관절센터 박철 원장은 “장경인대증후군은 보통 무릎을 30도 정도 구부렸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하다”며 “통증이 심하면 하던 운동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며 냉찜질을 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될 수 있지만, 운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느껴진다면 방치하지 말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유연함을 유지하고, 충격 흡수가 잘 되는 쿠션이 좋은 신발을 착용하며, 경사가 있는 곳보다는 평지에서 운동할 것을 권한다.

 

박철 수원 윌스기념병원 관절센터 원장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