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카드뉴스] 지진대비 행동요령

입력 2016-09-21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비비_지진-01






비비_지진-02






비비_지진-03






비비_지진-04







비비_지진-05







비비_지진-06







비비_지진-07







비비_지진-08







비비_지진-09







비비_지진-10






비비_지진-11







비비_지진-12






비비_지진-13







비비_지진-14


안녕 난 비비야

요즘 지진이 발생해서 많이 놀랐지!

오늘은 지진에 대해서 알아볼 거야!

 

지진 규모

1.0-2.9-극소수의 민감한 사람만이 느낌

3.0-3.9: 실내, 건물 위에 있는 사람들이 약간의 흔들림을 느낌

4.0-4.9: 많은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약간의 그릇과 창문이 깨짐

5.0-5.9: 모든 사람이 느끼고 약한 건물이 균열되고 서 있기가 힘든 상태

6.0-6.9: 정상 건물이 붕괴되고 차량 운행이 어렵다.

7.0-7.9: 산사태가 발생하고 땅이 꺼지는 대규모 재해

 

 

지난 12일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의 규모는 5.8이었는데

상당한 수준의 지진이었지?

이제 미리 준비해야 해!

 

-평소에 준비할 것은 무엇이 있을까?

집에서 지진을 느끼면 이렇게 해~

텔레비전이나 꽃병 등은 높은 곳에 두지 않는다.

옷장, 냉장고 등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기구로 고정해 둔다.

그릇장이나 창문 등 유리가 깨졌을 때 흩어지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고정해 둔다.

 

-비상 배낭도 준비해 두는 것이 좋겠지?

손전등

맥가이버칼

비상식량(초코바, 참치통조림 등)

비상약

침낭 or 담요

현금(지폐, 동전 모두)

면장갑

생리용품

후드 바람막이 옷

수건, 휴지, 물티슈

호루라기

인감, 통장 등

생수

 

지진이 일어났을 때는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공터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좋아

미리 장소를 정해두면 좋겠지?

지진 발생 시 장소별 대피요령 알려줄게

 

지하철 안

지하철 안은 비교적 안전하나 의자나 기둥 등 고정된 물체를 잡도록 해

진도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전철은 일시적으로 운행이 정차되는데

정차 후 서둘러 밖으로 나가면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방송에 따라 행동하도록 해

자동차 안

지진이 발생하면 핸들이 불안정하게 되어 운전이 불가하므로

교차로를 피해 길 오른쪽에 정차 후 내려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대피해

 

블록담이나 대문, 기둥 등에 가까이 가면 안 돼

불안한 마음에 기대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지만, 지진으로 인해 무너져 다칠 수 있다구

건물에서 간판이나 유리창이 떨어질 수 있으니 가방이나 옷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지하나 공터로 대피해

 

집안

건물에 따라 현관문이 삐뚤어져 안 열리는 경우를 대비해 현관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야 돼.

출구 확보 후 흔들림이 멈추면 머리를 보호하고 건물에서 떨어진 공터 등으로 대피하고 급할 경우 집안 화장실로 대피해

(겹쳐진 배수구 시설로 비교적 안전하고 물이 있어 좋은 대피장소가 될 수 있어.)

 

빌딩가

건물이 많은 빌딩가에서는 상황에 따라 건물 안에 있는 것이 오히려 안전할 수 있어.

건물 밖에 떨어지거나 쓰러지는 물체로 다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야.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진을 느꼈다면 신속하게 내려서 대피해야 해.

그리고 불이 났을 때 엘리베이터를 타면 안된다는 거 기억해!

잇단 지진으로 불안감이 커지는 이때

미리 준비해서 신속하고 차분하게 대처하도록 하자!

 

이지현기자 eesyy@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