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헬스 > 생활건강

[카드뉴스] 그때는 귀족병 지금은 서민병

입력 2016-08-18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462053557
게티


귀족병2
게티


귀족병3
게티


귀족병4
게티


귀족병5
게티


503393500
게티


귀족병7
게티


귀족병8
게티


귀족병9
게티


귀족병10
게티


귀족병11
게티


87769936
게티


예전, 아픈 사람을 부러워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물론 일부로 걸리려고 노력하진 않았지만요. 아무나 그 병으로 아플 수 없었기 때문이었는데요. ‘부자’들만 걸렸다는 이병, 뭘까요?

‘바람만 스쳐도 아파’
바로 통풍입니다. 관절 내 공간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생기는 질환인데요. 귀족병, 황제병이라고 불렸던 이유는 ‘과음’, ‘폭식’때문이었습니다.

가난했던 시절 먹을 것이 부족했기 때문에 ‘잘’ 먹던 상류층 사람들만 걸릴 수 있는 병이었죠. 19세기 영국에서는 유행처럼 통풍환자가 늘기도 했습니다. 당시 퍼졌던 와인이 한몫했죠.

통풍은 40~50대 남성들에게 주로 발병되는데요. 신장기능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남성은 나이가 들수록 몸에서 요산을 제거하는 활동이 저하되는데요. 그 과정을 통해 체내에 요산이 쌓이게 되고 통풍의 원인이 됩니다. 이 때 과음과 폭식을 하게 되면 피 속에 요산이 더 짙어져 통풍으로 이어지는 거죠.

특히 붉은 빛을 띄는 고기의 경우 요산의 농도를 더 높여주었는데요. 당시 서민들은 구경조차 할 수 없었죠. 현재 통풍환자는 급격히 늘었습니다. 고기도, 술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죠. 더 이상 귀족병이 아닙니다.

우리는 통풍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평소 식단조절만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데요.

홍삼: 연세대 식품영양학과에서 임상실험으로 요산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활성 산소로 체내 손상을 감소시켜주었죠.

우유: 우유에는 퓨린성분이 거의 들어있지 않은데요. 다른 단백질과는 다른 점이죠. 퓨린은 요산을 합성하는 물질입니다.

미역: 미역도 우유와 비슷합니다. 퓨린이 적게 들어있어 요산 조절 작용에 탁월하죠. 단, 미역국을 끓일 때 고기를 많이 넣으면 오히려 요산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퓨린이 적게 들어 있는 음식으로 달걀, 치즈, 빵, 과일, 채소 등이 있습니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소변을 통해 요산이 배출되기 때문이죠. 섬유질, 비타민도 요산이 체내에 쌓이는 것을 막아줍니다.

통풍, 무엇보다 가장 멀리해야할 것은 ‘술’입니다. 오늘은 우유한잔 어떠신가요?

박민지 기자 pmj@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