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카드뉴스] 엄마로 살기엔 너무 각박한 현실 “결혼.. 뭐 꼭 안 해도 돼”

입력 2016-08-11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엄마1
게티




엄마2
게티




엄마3
게티




엄마4
게티




엄마5
게티




엄마6
게티




엄마7
게티




엄마8




엄마9




엄마10
게티

.. 꼭 안 해도 돼

결혼선배들이 조언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이미 결혼을 한 청장년층 여성의 절반가량(44%)은 결혼에 대해 해도 좋고 안 해도 좋은 것이라고 답했다.

 

15~49세 기혼여성 중 절반이상(50.4%)이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여기는 최근의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신세대 기혼여성 혼전동거긍정적.

25세 미만 기혼여성의 대다수(70.4%)먼저 함께 살아보는 것도 좋다항목에서 찬성에 한 표를 던졌다결혼을 할 거라면 아이는 꼭 낳지 않아도 된다고 얘기했다. 기혼여성의 절반가량은 결혼을 해도 자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고 답한 것.

 

딩크족, Double Income No Kid’

결혼해도 자녀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는 항목은 찬반비율이 비슷했다. 무자녀 결혼 생활에 대해 어느 정도 수용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

 

결혼을 하고, 아이도 있는 여성의 고민은 어느 덧 사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자리했다. 결혼과 육아는 엄마를 다시 사회로 나가게 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무직 신분인 기혼여성 중 70%앞으로 일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자녀양육비 마련이 주된 이유(35.7%).

 

(남편 수입으로는 생활비 부족(24.0%), 자아실현(21.4%), 노후대책(7.2%), 경제적 독립(4.6%), 집에 있으면 심심하고 답답해서(4.3%), 현재 돈을 버는 사람이 없어서(2.3%)

 

취업 시기도 아이에게 맞춰져 있었다. 자녀 성장단계와 무관하다는 25.4%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자녀의 성장과 관계가 깊었다.

 

(자녀 초등학교 입학 시기(27.2%), 자녀의 성장단계와 무관(25.4%), 자녀의 중학교 진학 후(13.2%), 자녀가 어린이집에 갈 때(12.3%), 자녀가 유치원 갈 때(8.2%), 자녀의 고등학교 진학 후(5.4%), 자녀의 대학진학 후(5.0%)

 

자식 얼굴만 보면 씻은 듯 행복해진다는 엄마들그러나 엄마로 살기에 너무 각박한 현실아이를 위해사회에서 집으로 돌아온 그녀들이 아이를 위해다시 사회로 나섭니다

 

우리는 그녀들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있습니까?

 

박민지 기자 pmj@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