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카드뉴스] 한국 무시한 폭스바겐, 본때를 보여줘야 할 때

입력 2016-06-21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폭스바겐1
연합


폭스바겐2
연합


폭스바겐3
연합


폭스바겐4
연합


폭스바겐5
연합


폭스바겐6
연합


폭스바겐7
연합


513729015
연합


폭스바겐9
연합


폭스바겐10
연합


-
연합


폭스바겐12
연합


폭스바겐13
연합


폭스바겐14
연합


“이건 뭐 거의 깡패네요”
검찰도 속았다. 세계 자동차 시장 1, 2위를 다투는 글로벌 기업 ‘폭스바겐’의 이야기.

made in Germany.
독일 제품은 신뢰에 있어서만큼은 ‘신화’였다. 폭스바겐의 ‘사기’에 그 신화가 무너지고도 한동안 한국의 소비자들은 폭스바겐 중고차 값이 더 떨어지길 학수고대했다. 좀 더 싼값에 살 수 있다는 희망을 지닌 채. 이유는 단 하나 “그래도 독일차니까”

지난해 9월, ‘디젤차 연비조작’ 이후 폭스바겐의 사기는 양파껍질 벗기듯 끊임없이 드러났다. 한국 검찰이 혀를 내두를 정도로….

‘사기죄 검토 중’
‘클린디젤’을 내세웠던 폭스바겐이기에 조작을 통해 감춘 ‘더티디젤’은 명백한 사기다. ‘거래에 있어 중요한 사항에 관한 구체적 사실을 신의성실의 의무에 비춰 비난받을 정도의 방법으로 허위 고지했다면 사기죄의 기망행위에 해당한다’ -대법원 판례 中-

“본사에서 직접 배출가스 조작”
휘발유차까지 속였다니…. 폭스바겐 독일 본사에서 배출가스를 조작한 정황이 포착된 것. 국립환경과학원 배출가스 인증 시험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고 관련 소프트웨어 장치를 몰래 바꿨다.

배출가스는 차량 내구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판매해야하는 자동차 업계에서 ‘이런 문제를 이런 식으로’ 해결할 줄은 상상도 못한 일. 그것도 세계 최고 기업에서.

“조작 서류 100건 넘어”
지금까지 폭스바겐이 한국 정부에 제출한 서류 중 조작이 확인된 것은 100건이 넘는다. 검찰이 ‘깡패’라고 언성을 높일 법하다.

미인증 차랑 판매 (5만여 대)
연비시험성적서(48건)
배출가스·소음인증 성적서 위조 (43건)

‘3번이나 반려된 리콜계획안’
폭스바겐은 환경부의 명령을 계속해 거절했다. 5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배출가스 과다 배출로 개선요구를 받았지만 무시한 정황까지 드러나며 ‘한국을 무시한다’는 여론은 확산되고 있다.

‘사기’에 한 번 ‘대처’에 두 번 놀란 소비자
환경부는 폭스바겐에 리콜 명령을 했다. 저감장치를 조작했다는 ‘임의설정’ 문구도 넣어라 권고했다. 폭스바겐은 거절했다. ‘무시하듯’

“왜 우리만 무시해?”
다른 나라에서 똑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폭스바겐 측은 두 팔 걷고 수습에 힘썼다. 한국만은 만만하게 본 셈이다. 떠밀리듯 사과의 뜻을 전하기는 했지만 검찰수사 결과에 대해 별다른 입장 표명은 없다. 리콜도 없다. 물론 구체적 보상안도 없다.

휘발유차인 폭스바겐의 7세대 골프 1.4TSI 모델은 국내에서 1567대 팔렸다. ‘믿고 산’ 폭스바겐에 연이어 뒤통수를 맞는 소비자들이 칼을 뽑았다.

‘폭스바겐 물러나라’
오래도 참았다. 국내 소비자들이 폭스바겐 측에 대해 집단소송에 나선 것이다. 폭스바겐 측이 판매한 전 차종에 대해 판매 중지 명령을 내릴 것을 촉구하는 청원서도 환경부에 제출할 심산.

골프 1.4TSI 휘발유 차량에 대해 매매계약을 취소하고 대금 반환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낼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를 기만한 폭스바겐에 대해 사기죄로 형사 고소도 할 요량이다.

한국을 무시한 폭스바겐에 본때를 보여줘야 할 때다. 그 전에 이른 바 ‘명품’, ‘외제’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던 한국인 의식 먼저 돌아볼 때이기도 하다.

폭스바겐의 이런 깡패 같은 배짱은 어디서 나왔을까? 혹시 우리의 ‘독일 차에 대한 맹신’을 역이용 한 것은 아닐까? 조금 뒤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가 더더욱 폭스바겐을 응징해야 할 이유다.

박민지 기자 pmj@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