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카드뉴스] 나쁜 상사 특징 10가지 "우리 부장님이세요?"

입력 2016-05-18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미국의 한 구인구직회사에서 ‘나쁜 상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직장인 스트레스의 주범, 나쁜 상사는 어떤 모습일까요?

485813016
게티


상사2
게티


상사3
게티


상사4
게티


상사5
게티


상사6
게티


상사7
게티


상사8
게티


상사9
게티


상사10
게티


상사11
게티


상사12
게티


상사13
게티


1. “정대리가 했어요”
부하직원을 방패로 삼아 책임을 전가한다. 문제가 생기면 모두 떠넘긴다.

2. “나 또 좋은 아이디어가 떠 올랐어”
오전에 지시한 내용을 오후에 바꾼다. 혼란스러운 오더는 부하의 책임감을 저하시킨다.

3. “밥 먹고 바로 내 자리로 좀 와”
근무시간이 아닌데도 업무지시를 한다. 출근 후 업무시작 전 시간이나 점심시간에 부른다.

4. “글씨 좀 반듯하게 써”
사소한 일로 트집을 잡아 부하직원을 피곤하게 한다. 웃어넘길 수 있는 일도 집고 넘어간다.

5. “이렇게 바쁜데 어딜 간다는 거야”
법적으로 허락된 휴가를 사용을 사용할 때 눈치를 줘 불안하게 한다.

6. “이것 좀 적당히 깔끔하게 작성해서 줘”
지시를 명확하게 하지 않는다. 눈치껏 일을 처리해가면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

7. “어쭈”
잘못한 일은 크게 들추면서 칭찬에는 소극적이다. 칭찬을 하지 않기도 한다.

8. “커피 좀 타와”
업무 외의 지시는 부하직원의 반감을 산다. 부하직원은 개인비서가 아니다.

9. “아 됐어”
부하직원의 의견을 묵살한다. 올바른 지적과 맹목적 비난은 다르다.

10. “회사 사정이 어려워요”
임금동결은 부하직원의 가장 큰 불만이다. 직원 복지에 야박한 회사는 애사심을 얻기 힘들다.

“좋은 회사보다 좋은 상사가 더 중요하고, 좋은 상사가 좋은 스승보다 더 낫다”
-인생에 가장 중요한 7인을 만나라-

박민지 기자 pmj@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