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카드뉴스] “이거 아니었어?” 의외로 틀리는 상식모음

입력 2016-02-26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상식_메인


상식_1


상식_2


상식_3


상식_4


479767692


상식_6


상식_7


상식_8


477965566


상식_10


476921920

 

△뇌세포는 태어난 이후 더 이상 늘지 않는다.
출생 이후에 neurogenesis라는 신경발생 영역에서 뇌세포가 늘어난다. 뇌세포의 경우 다른 세포에 비해 생성확률이 낮은 편이다. 때문에 뇌세포가 미세 손상되거나 자극을 받을 경우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금붕어 기억력은 30초다.
연구결과 최소 12일에서 몇 달 간 기억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캐나다 맥이완 대학 연구팀이 먹이 훈련을 시킨 결과 기억력이 적어도 12일은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보아즈 자이언 박사는 “4~5개월 후 같은 음악을 틀자 먹이를 먹기 위해 모여들었다”면서 “적어도 3개월 이상의 기억력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번개는 한번 떨어진 장소에 또 떨어지지 않는다.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은 1년에 100번 정도 벼락을 맞는다. 전압차가 있는 두 지점이 가까워지면 스파크가 일어난다. 번개의 경우 거리가 변하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전압차가 일정이상 늘어났을 때 발생하는데, 번개가 치기 좋은 위치는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

△ 박쥐는 장님이다.
박쥐는 초음파를 사용하지만 눈도 보인다. 박쥐는 태어날 때는 장님이지만 일주일정도 후 눈을 뜬다. 박쥐는 보통 눈이 아닌 귀를 사용해 밤에도 안전하게 날라다닐 수 있다.

△물은 전기가 통한다.
순수한 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물에 있는 염분이나 불순물 때문에 전기가 통하는 것이다. 전기가 통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띠는 입자 즉 전하가 존재해야한다. 전하의 종류에는 (-)를 띠는 전자 또는 음이온들이 있고, (+)를 띠는 원자핵 또는 양이온들이 있다. 순수한 물은 H2O만 들어있고 전기를 띠지 않는 분자상태로 있기 때문에 전류가 통하지 않는다.

△껌은 소화시키는데 일주일이 걸린다.
껌은 소화되지 않고 대변으로 나온다. 소량의 껌은 우리 몸에 있는 소화효소가 수분을 포함해 일정 부분 소화시키고 남은 RJa의 물질은 48시간 이내에 대변으로 배출된다.

△머리카락과 손발톱은 죽은 직후에도 자란다.
죽은 뒤 피부가 수축해서 커져 보이는 것이다. 사람이 사망하면 부패가 일어난다. 이 때 두피나 피부에 수분이 빠지게 되면서 손톱과 머리카락이 길어져 보인다.

△상어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상어 연골조직을 암 치료약으로 팔기 위해 퍼트린 근거 없는 소문이다. 상어도 드물게 암에 걸린다. 미국 국립암센터에 의하면 연골암에 걸린 상어도 있다. 상어연골 추출물은 암치료에 효과가 없다.

△중세 때 지구는 평평하다고 생각했다?
갈릴레오 전에도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했다. 중세 때 무지했다는 소문은 historical association 이라는 단체가 1940년에 퍼트렸다.

△개는 흑백으로 본다.
연구결과 개는 검정색, 흰색, 파란색, 노란색을 구분한다. 한준우 시티컬리지 애완동물학부 교수는 “개 시력은 낮엔 0.2 밤엔 1.0 정도다. 개는 검정색, 흰색, 파란색, 노란색을 구분한다. 또한 가만히 있는 사물은 잘 못보고 움직이는 사물을 잘 본다”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민지 기자 pmj@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