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llenge(창업‧창직)

사회적 기업, 홍보 안돼 울고…'품질 나쁘다' 편견에 또 울고

홍보 부족·편견 탓 5곳 중 4곳 적자
정부의 우선구매 제도 덕분에 유지

입력 2014-10-12 08: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사회적기업 구매상담회
고용노동부는 2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장에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2014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상담회’를 개최했다. 공공기관 구매상담자들이 사회적기업 구매상담 코너에서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제품에 대한 홍보 부족을 경영상 큰 애로사항으로 들었다. 또한 일반 기업의 제품에 비해 품질은 떨어지고 가격은 높다는 인식도 성장을 방해하는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떡을 판매하는 사회적기업 떡찌니 석지현 대표는 10일 “좋은 품질의 재료로 만든 우수한 맛의 제품을 시중 가격에 선보이고 있는데도 홍보가 부족해서인지 성장에 한계를 느낀다”고 말했다. ‘떡찌니’는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입소문을 타면서 사회적기업 중에서는 유명세를 타고 있는 곳인데도 홍보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들었다.

공정무역 커피와 쿠키를 판매하는 ‘NGO기아대책’도 홍보부족과 가격 및 품질에 대한 편견이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기아대책 이학봉 팀장은 “시중 제품에 비해 가격은 조금 낮은 반면 품질은 전문가와 많은 고객들이 인정할 정도로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만 홍보가 부족해서인지 판매가 제한적이다”고 어려움을 밝혔다.

손수건 등을 판매하는 대지를위한바느질 김상국 팀장은 “홍보부족과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품질·가격에 대한 오해가 가장 고충”이라며 “소규모의 사회적기업이 개별 홍보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홍보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진흥원 윤종태 판로지원팀장은 “사회적 기업과 개별 제품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백화점, 할인매장 판촉전을 확대하고 제품 품질을 높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보 부족과 가격·품질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사회적 기업의 경영실적은 5곳 중 4곳이 적자(2012년 공시업체 기준)일 정도로 좋지 않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관심 증가와 정부 지원에 힘입어 사회적 기업의 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 기업 인증업체 수는 2007년 55개사에서 올 9월 현재 1165개사로 확대됐다. 2007년 이후 인증을 받은 기업이 총 1251개사인 점에서 보면 사회적 기업의 인증 유지 비율은 93.1%로 매우 높다. 다만 신청 현황 대비 인증 획득률은 48.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진흥원 강경흠 육성평가팀장은 “사회적 기업으로 창업을 위해 지원들을 많이 하는데 아무리 설립의도가 좋다고 해도 사업목적, 조직 등 일정 요건을 갖추지 않으면 인증을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힘들게 사회적 기업 인증을 획득해 정부로부터 인건비 등의 지원을 받는다고 해도 홍보 부족으로 제품 인지도가 떨어지고 영업망 확보가 힘들다보니 가파른 성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정부는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우선구매를 권장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우선구매 실적은 2012년 1916억원에서 작년에는 2632억원으로 37.3% 증가했다. 올해 구매계획은 지난해보다 20.7% 늘어난 3179억원이다. 이처럼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구매실적이 매년 대폭 늘어날 수 있었던 데는 정부의 공공기관 평가 항목에 사회적 기업 우선구매 지침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 제품
지난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구매상담회’ 한켠에 사회적기업 제품들이 전시돼 있다.

 

정부권장정책을 보면 751개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 중소기업, 여성기업 등의 제품을 우선 구매할 경우 구매실적을 반영해 평가점수를 부여하고 있다. 총구매비용의 3%를 넘기면 최고점수를 받는 방식이다. 다만 배점 비중은 크지 않다. 정부권장정책은 공공기관 평가점수 100점 만점에 5점이며 평가항목은 13개다. 평가 항목이 많다보니 사회적 기업 제품의 구매비중이 3%를 넘었는지에 대한 평가가 차지하는 점수는 100점 만점에서 0.2~0.4점에 불과하다. 용어 그대로 권장 사항이다. 그럼에도 평가에 민감한 공공기관 입장에선 사회적 기업 우선구매 권장을 받아들이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구매담당자는 “정부의 사회적 기업 제품 우선구매 지침에 따라 기준을 채우지 못하면 공사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 높아도 사회적 기업 제품을 우선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품질과 가격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면 사회적 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농어촌공사의 구매담당자는 “총 구매금액의 3%를 사회적 기업 제품으로 우선 구매토록 지침을 받았지만 지침을 따르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필요한 제품은 양수장, 배수장 설치 및 보수를 위한 건설자재인데 이를 공급하는 마땅한 사회적 기업이 없기 때문이다. 그는 “우리 공사의 경우 우선구매 지침을 따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복사지, 종이컵 등 사무용품과 청소용 소모품을 사회적 기업 제품으로 우선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과 서규진 사무관은 “사회적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라는 지침은 기관을 평가하는 여러 항목 중의 하나로 권장하는 수준일 뿐 법으로 정한 강제사항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차종혁 기자 ch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