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부동산 > 부동산 뉴스

지방 소도시 청약자수, 현 정부 출범 후 15배 증가

입력 2022-04-13 09:46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20413092617
현 정부가 출범한 2017년을 기준으로 지방 소도시 신규 분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지방 소도시는 인구 규모, 즉 아파트 수요가 적은 만큼 공급도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R114 청약경쟁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시기인 지난 2017년 이후 5년간 인구 5만 명 미만 지방 소도시에 일반공급된 신규 단지는 72개, 1만 4498가구였다. 연평균 2900가구가 공급된 것이다. 2012년부터 2016까지 5년 동안 공급된 단지가 38개(6994가구), 연평균 1399가구인 것과 비교하면 단지 개수는 1.89배, 가구수는 각각 2.07배씩 늘었다.

공급이 많아짐에 따라 청약자수는 15배 이상 늘었다. 2017년 이후 5년간 지방 소도시에서 청약을 접수한 사람은 2만 6934명으로 평균 1.8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전 5년간은 1730명이 청약을 접수했고, 평균 경쟁률은 0.25대 1이었다.

특히 1순위 청약자수가 크게 늘었다. 2012년 이후 5년간 1순위 청약자수는 893명으로 전체 청약자수(1730명)의 52%에 불과했다. 반면 2017년 이후는 2만 3823명으로 전체(2만 6,934명) 88%를 차지했다.

개별 단지 성적을 봐도 시장 분위기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이들 지역에 공급된 모든 단지의 청약 경쟁률을 비교했을 때, 상위 10개 단지 중 8개가 2017년 이후 분양됐다. 뿐만 아니라 이 8개 단지가 1위부터 8위에 이름을 올렸다.

과거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2016년 경남 함양군에 분양한 ‘함양웰가센트뷰’로 평균 2.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1순위 마감에는 실패했다. 반면 지난 2021년 충남 계룡시에 공급된 ‘계룡자이’는 1순위 마감은 물론 평균 27.68대 1이라는 두 자릿수 경쟁률을 보였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건설사들이 비규제지역인 지방 소도시에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투자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부동산인포 분양물량 자료에 의하면, 올해도 지방 소도시에 총 2517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